고향을 아끼고 사랑하는 애향단체 재경안성산악회

산행무사고 기원 산신제, 산악회 사무실 개소 추진

 20년 역사와 안성인이 함께하는전통적 가치를 갖고 있는 재경안성산악회(회장 이광복)가 지난 19일 도봉산 보문능선에서 2017년 한해 무사고를 기원하는 시산제를 거행했다. 등산을 겸한 이날 시산제에는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회원들이 참석해 단합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날 12시 시산제가 시작될 즈음 축복하듯 햇빛이 잠시 보이는 가운데 이경구 원로 고문의 축문으로 진행됐다.

 이경구 고문은 축문에서 저희 산악회 회원들은 수려하고 장엄한 영봉과 아름다운 계곡에서 대자연을 흠모하며 꾸준한 산행을 통해 인내와 협동정신을 기르고, 화목과 단결을 배우며 자연이 주는 교훈 속에서 심신을 연마하여 왔습니다.”

바라오니 산이 좋아 산을 찾는 사람이나 풀 한포기 꽃 한 송이 나무 한그루 일지라도 저마다의 아름다운 뜻을 기려 함부로 하지 않으며, 그 터전을 파괴하거나 더럽히지 않으며, 새 한 마리, 다람쥐 한 마리와도 벗하고 지내며, 추한 것은 덮어주고, 아름다운 것은 그윽한 마음으로 즐기는 그러한 산행을 하며 그래서 산을 닮아가는 좋은 사람들이 되게 하시고 산에서 만난 인연은 더욱 소중히 하게하고, 산을 좋아하는 모든 사람들 가정과 우리 회원들과 가족들에게도 건강과 축복을 내려줄 것을 간곡히 기원했다.

 이광복 회장은 재경안성산악회 발전을 위해 안전과 즐거운 산행을 위해 산악대장과 부대장 남·녀 각 1인씩 임명 산악회 사무실을 주천약품 회사에 설치해서 누구나 쉬어갈 수 있는 공간과 회의실 개방 송년회 후 1월 달에 서울 근교 등산 시행 20년 전통 역사와 연혁과 새 도로명 주소, 스마트폰 변경내용 새로 편찬한 회원명부 발간 회원들에 산행지 선택권 부여 회원간 기탄없는 의견 개진과 소통위해 밴드개설 회원모두 주인의식 함양 홍보위원장 제도 신설 등을 제시하며 안성 출향인들의 화합을 다지는 산악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해 열렬한 박수를 받았다.

 이광복 회장은 이어 2년간 열심히 봉사해온 전임 문희범 회장에게 회원들의 고마운 마음을 담은 감사패를 전달하면서 노고를 치하했다. 경건한 마음으로 시산제를 마친 회원들은 식당으로 자리를 옮겨 미리 준비한 만찬을 들면서 즐거운 마음으로 고향 발전과 회원간 결속을 다짐했다.

 재경안성산악회 신임 임원은 다음과 같다. 고문(원로) 이경구(공도) 박종순(금광) 고문 김영수(서운) 고달원(금광) 송창호(죽산) 명예회장 문희범(금광) 운영감사 이영수(원곡) 재무감사 안장렬(일죽) 회장 이광복(일죽) 수석부회장 김경수(일죽) 부회장 민병일(삼죽) 이익신(금광) 최승숙(미양) 전정애(일죽) 운영위원장 이정관(일죽) 운영총무 허군욱(죽산) 재무 총무 양영석(일죽) 산악대장 권동호(서운) 산악부대장 이주일(죽산) 신영수(일죽) 운영위원 김종진(안성) 송우근(대덕) 이계상(공도) 이영수(원곡) 이수영(양성) 한기준(고삼) 권동호(서운) 최승숙(미양) 장월계(보개) 박옥희(금광) 민병일(삼죽) 박선순(죽산) 공지순(일죽)

<서울분실 이병언 분실장>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