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군대” 운운 유감

전 한나라당 안성시위원장 안상정

 최근 당나라 군대운운의 주장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어느 공영방송의 논설위원이라는 사람이 자신의 트위터에서 다름 아닌 우리 대한민국 국군이 모든 면에서 당나라 군대같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당나라 군대란 군기가 빠져 오합지졸인 형편없는 군대를 지칭하는 일종의 속어입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태와 관련해 우리 군의 대응자세가 미덥지 못했다는 여론이 있다고는 하지만, 너무 지나치다는 생각입니다. 대한민국 국군이 졸지에 당나라 소속 군대가 되고, 금쪽같이 귀중한 아들을 군대에 보낸 부모 역시 당나라 국적이 되고 말았으니 쓴 웃음이 나옵니다. 도대체 명예를 먹고사는 군을 그렇게 폄하하고 희화화할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싶습니다. ‘당나라 군대가 어떤 유래를 갖고 있는지 알고서 그런 소리를 했는지 묻고 싶습니다.

 사실 당나라 군대라는 말 자체가 얼핏 모순이 있어 보입니다. 당나라야말로 중국 역사를 통틀어 가장 강성한 왕조였고, 그 토대가 강력한 군사력이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당나라가 급격한 쇠락 과정을 밟았고, 군대 역시 그랬다는 것입니다. 현종 말기 안녹산의 난이 휩쓸고 지나가면서 당나라 군대는 일사불란한 지휘통솔 체계가 무너집니다. 지방마다 군벌이 난립하고 사병화된 군대의 기강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어지러워집니다. 당나라는 외세의 침략에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었고, 서역 등 대부분의 식민지를 잃고 맙니다. 그래서 조롱하고 비아냥대는 말로 당나라 군대가 생겨났다는 것입니다. 한편 벤처업계의 전설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는 저서를 통해 색다른 주장을 해서 눈길을 끕니다. 이 교수에 의하면 당나라 군대라는 어원은 나당전쟁즉 신라와 당나라가 한반도 패권을 놓고 싸웠던 상황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당나라는 동쪽에서는 신라와 싸우고 서쪽에서는 토번과 싸우면서 진퇴양난의 늪에 빠집니다. 이 때 특히 멀리 신라에 원정 왔던 당나라 군대가 전의를 잃고 우왕좌왕합니다. 그래서 당나라 군대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것인데, 퍽 설득력이 있어 보입니다.

 이번 연평도 사태 때 우리 국군은 강한 투혼과 감투정신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느 병사는 철모가 불에 타들어 가는 것도 모른 채 싸웠고, 마지막 휴가를 나왔던 어느 병사는 급히 부대에 복귀하다가 전사하고 말았습니다. 우리 국군은 결코 당나라 군대로 폄하될 만큼 허약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초동대처나 무기관리, 전략전술 등에 있어 문제점이 많이 드러난 것도 사실입니다. 대통령과 정부가 총체적인 국방개혁방안을 마련한다고 하는데, 꼭 전화위복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지금 우리 국군에게는 호된 질책과 함께 따뜻한 격려도 필요합니다.

 다시는 당나라 군대운운의 부끄러운 자학성 주장이 나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지역

더보기
안성종합사회복지관, ‘안테나 4기’ 발대식
안성종합사회복지관(관장 박희열)이 지난 3일, 대학생 공익활동 연합동아리 ‘안테나 4기’의 발대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의 시작을 알렸다. ‘안테나’는 ‘안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함께하는 나와 너’의 줄임말로, 안성 지역 대학생들이 공익활동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대학생 연합동아리이다. 2022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 4기를 맞이한 ‘안테나’는 매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올해 선발된 ‘안테나 4기’는 총 24명의 대학생으로 구성, △인식개선 캠페인 동아리 ‘안성, 안녕지킴이’ △팝업놀이터 동아리 ‘노는게 제일 조아’ △찾아가는 복지 인형극 동아리 ‘레디 액션’ 등 3개 팀으로 나뉘어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들은 주도적인 공익활동 실천을 목표로 지역 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열정으로 뭉쳤다. 발대식에 참여한 ‘안테나 4기’의 이채원 학생은 “안테나 활동을 통해 보람과 행복이 가득한 한 해를 보내고 싶다”며 포부를 밝혔다. 박희열 관장은 “공익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뜨거운 열정이 매우 인상 깊다’며 ‘안테나 활동이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해 나가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