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범농협 상무> 농촌·농협 발전 역량 최고

서안성농협 백영호 상무

 농민들의 소중한 꿈인 복지농촌 건설과 농가 소득향상을 위해 특유의 높은 역량으로 헌신하고 있는 서안성농협 공도중앙지점 백영호 상무는 각종 지도, 판매 사업을 통해 농민과 지역에 실익을 주고 있는 모범 농협간부 직원이다.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농촌에 대한 남다른 애착을 갖고 있는 백 상무는 살기 좋은 농촌건설과 농협발전의 당찬 의자를 갖고 198671일 죽산농협 직원으로 최초 입사한 뒤 농민을 위해 일하겠다는 신념으로 업무능률 향상 등 많은 업적 창출로 200541일 상무로 승진했다. 201541일자로 서안성농협으로 발령받은 백 상무는 마트 점장으로 그의 특유한 진가를 발휘했다.

 평소 서글서글하고 따뜻한 이웃 아저씨, 오빠 같은 친화력 있는 성품을 가진 것은 물론 적극적이며 정확한 업무추진력으로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마트로 변화를 꾀해 소비자와 지역사회의 호평과 큰 인기를 받았다.

 백 상무는 이에 대해 공도읍은 이제 인구 6만의 도시권 지역이 됐으며, 국내 굴지의 마트가 지역내와 생활권이 겹치는 인근에 위치해 있어 선제적 변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희망 있는 농업, 살기 좋은 복지농촌 건설과 농민조합원을 진실로 아끼고, 농가실익과 지역발전을 위한 농업발전의 리더로 평가 받고 윤국한 조합장이 제시한 조합원의 농산물 판매, 믿을 수 있는 상품, 문화서비스 제공 이라는 목표를 갖고 노력하면서 큰 인기 속에 매년 10%이상의 고 성장을 이룩해 2015240억 매출달성으로 경기도내 400개 하나로마트 중 10위권의 대형 마트가 되어 이제는 지역사회 최고 대형 유통 마트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조합원의 농산물 판매 분야에서도 로컬푸드 매장을 오픈해 조합원 소득증대와 소비자 농산물 만족도를 높이는데 선제적 공로가 됐다고 덧붙였다.

 서안성농협이 급속히 노령화, 부녀화 되고 있는 영농현실을 감안해 서안성농협만의 얼굴있는 우량 쌀 생산과 농업인들에게 실익을 주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현대식 육묘장을 설치해 운영했다.

 서안성농협은 쌀 소비 감소로 재고량이 늘어나면서 쌀값이 계속 하락 추세에 있고, 더구나 정부가 2016년 공공비축미 우선 지급금을 쌀값이 목표치 보다 내렸다며 환수에 나서는 등 어려워진 농촌 현실을 타대하고, 농민들의 영농비 절감을 위해 특색 지원사업으로 공도읍 건천리 1896평 부지에 1300평 규모의 현대식 하우스형 육묘장을 건립했고, 백 상무가 관리와 생산에 담당을 맡아 일 년 농사 성패는 우량육묘 생산에 있다며 우량모를 생산해 조합과 햅쌀용 생산을 계약한 농가에 무상 보급해 환영을 받았다.

 백 상무는 이번 육묘장 설치 지역은 차량 통행이 많은 경부고속도로 주변임을 활용해 자체 브랜드인 놀부가 탐낸 쌀홍보를 위해 대형 야간용 스크린을 설치 우량모도 생산하고 돈 안들이고 큰 홍보를 하는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두게 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