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약초연구회 (102) 박하 세계평화봉사단 안성시지회장 안정웅
약리작용으로는 중추신경 흥분작용, 피부점막 혈관수축 작용, 경련완화 작용, 간 보호,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자궁수축 증가, 임신억제 작용, 혈관확장, 혈압 하강 작용, 항염증 작용, 피부흡수 촉진 작용, 항미생물 작용, 호흡기도의 분비 증가 작용을 한다. 임상실험 결과 감기에 의한 발열, 오한, 무한을 치료하여 두통, 안구충혈, 동통을 치료하며 인후염, 축농증의 효험이 있으며, 은진, 피부소양에 효험이 있으며, 만성담마진을 완화시키며 간염, 협륵, 동통, 유방염, 월경불순에도 효험이 있다. 박하를 적당히 잘 이용하면 가벼운 증상을 완화시키는 좋은 약초이다. 감기로 인한 발열, 오환, 두통에는 금은화 12g, 연교 12g, 박하 6g, 형개 6g, 방풍 6g, 강활 6g, 독활 6g, 백지 6g, 창출 4g, 감초 4g 사용한다. 발열, 안구충혈, 인후염에는 상엽 12g, 국화 12g, 박하 6g, 천궁 8g, 백지 8g, 세신 8g, 강활 8g, 감초 2g사용한다. 간기능 장애로 인한 안구충혈, 협늑, 동통, 두통에는 하고초 12g, 결명자 12g, 박하 8g, 천궁 8g, 백지 8g, 밀봉화 8g 사용한다. 감기로 인한 인후염, 편도선에는 백강잠 12g, 길경 12g, 감초 12g, 박하 6g, 강활 6g, 방풍 6g, 형개 6g 진탕하여 목안에 머금고 있다가 서서히 삼킨다. 인후염에 화농이 졌을 때 판람근 12g, 선두근 12g, 금은화 12g, 연교 12g, 길경 8g, 감초 8g 전탕하여 목안에 머금고 있다 서서히 삼킨다. 비염, 코막힘에는 창이지 12g, 신이 12g, 박하 8g, 황금 8g, 방풍 8g, 길경 8g, 갈근 8g, 세신 8g 사용한다. |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