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心初思(노심초사)
도덕과 효도란 무엇인가?⓵ 국어사전을 보면 도덕(道德)이란 인륜(人倫)의 대도(大道),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道理)라고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 선(善), 덕(德), 예(禮) 등 인간 행위의 표준이 되며, 이를 체득해 실천하는 행위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 인류 역사상 공자의 인(仁), 석가의 자비(慈悲), 예수의 사랑(愛)이 사람들의 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어 인류정신 문화를 창조하고 또 인도(人道)의 길잡이로서 모든 생활 규범의 모체가 되어왔다. 더욱이 동양의 유도권인 한국, 중국, 일본 등은 공자의 윤리 도덕의 실천인 인(仁)을 중심으로 효(孝), 충(忠), 예(禮), 의리(義理) 등 덕목이 보편타당성을 지닌 생활 예절로서 효가 정신문화의 길잡이 에너지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효(孝)란 무엇일까? 백가지 행동과 만 가지 덕의 근본으로 가장 높은 인간의 덕목이 됐다. 그러기에 효경(孝經)에서도 무릇 효행이 덕의 근본이며, 모든 가르침은 여기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서에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가 나를 기르셨도다. 태아 적엔 배에 품고 기르셨고 갓 낳아서는 젖을 먹여 키우시고 따뜻한 옷과 여러 가지 음식을 고루 먹여 기르셨으니 부모님이 아니시면 내 몸이 어떻게 나서 이처럼 자랄 수 있었겠는가? 그 은혜를 보답하고자 하나 하늘과 같이 높고 넓어서 끝이 없도다.’라고 일러왔다. 효를 실천하는데는 어렵지 않고 또 극진하게 보살피고 봉양하면 된다. 효의 기준은 △부족한 부분을 채워 드리는 것 △부모에 대한 나의 잘못을 깨닫는 것 △아픈 자식은 아프지 말고 △나쁜 버릇은 알아서 고치고 △일하지 않는 자식은 일하고 △부모 앞에서 자식 채칙말고 △부모 앞에서 근심걱정 하지 말고 △부모 앞에서 먼저 죽지 말라는 것 등을 지키면 된다. 그렇다면 불효는 △태만하여 부모를 돌보지 않는 것 △도박과 술에 빠져서 부모돌보기를 등한시 하는 것 △감정 때문에 부모를 학대하는 것 △유흥에 빠져 부모를 욕되게 하는 것 △싸움질로 부모를 불안하게 하는 다섯 가지 불효 즉 오불효를 하지 말아야 한다. |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