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보육 원아 2022년까지 수용률 40%까지 향상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방안 검토

 민선 7기 경기도가 공보육 수준 향상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공공성을 갖춘 어린이집의 원아 수용률을 오는 2022년까지 현재 2배 수준인 4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11일 도에 따르면 이재명 도지사 인수위원회와 도 담당 부서는 현재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보육 시설 확충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인수위는 이 지사 재임 기간인 2022년까지 국공립 어린이집 원아 수용률을 40%까지 향상할 것을 건의했다.

 반면 도 담당 부서는 이를 위한 예산이 15천억 원에 이르는 점을 고려, ‘수용률 40%’를 국공립 어린이집만으로 국한하지 말고 공공형 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까지 포함하자고 제시했다.

 이에 양측은 공보육 시설 수용률 40%’에 우선 공감하며,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방안을 지속 검토하기로 했다. 국공립 어린이집, 공공형 어린이집, 직장 어린이집 등 공공성을 갖춘 어린이집의 원아 수용률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약 21%.

 국공립 어린이집만의 원아 수용률을 40%로 끌어올리려면 현재 695(수용 원아 44875)인 국공립 어린이집을 2400여 곳으로 늘려야 한다.

 도 관계자는 ·공립 어린이집 수용률을 전체 어린이집 원아 수 대비 40%로 높일지, 공공형 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까지 포함해 40%로 할지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확한 대책은 차후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도내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원을 받는 공공형 어린이집은 580(수용 원아 2558), 고용노동부로부터 운영비 등을 지원받는 직장 어린이집은 254(수용 원아 1529)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