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확산방지 위해 민관군 하나 되어

조기종식 위해 모두 팔 걷고 나서

 구제역 및 AI 발생으로 비상상황인 안성시는 너나 할 것 없이 민··군이 하나 되어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가고 있다.

 지난 1222일 구제역 안성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 초소를 설치했고 16일 구제역 발생 4일후 AI까지 발생되면서 연일 계속되는 기록적인 한파, 살처분 24시간 계속되는 초소근무와 상황실 근무 등 고생하는 공무원과 축산 농가를 돕기 위한 민··군이 발 벗고 나섰다.

 살을 에는 추위에 하루 200에서 500여 명씩 살처분을 도맡아 하는 55사단 172연대 군 장병들 날이 추워 소독약을 뿌리면 자동차유리가 얼고 바닥은 빙판길이 되어 연신 긁어내며 밤낮을 가리지 않고 방역초소에 근무를 서야하는 경찰서, 소방서, 농협, 시설관리공단, 교육청, 민간단체 등 40여개 단체가 구제역 차단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같은 민··군이 하나 된 노력으로 돼지 구제역 의심신고가 29일 이후 주춤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설 연휴로 이동이 많은 이번 주가 최대 고비인 만큼 확산차단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설연휴 기간에도 30개 방역초소와 상황실을 24시간 가동하며 방역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황은성 안성시장은 공무원들에게 편지를 보내 설에도 쉬지 못하고 초소근무와 살처분 등에 투입된 공직자 여러분의 각별한 노고 덕에 우리 안성시민들은 편안하게 설을 쉴 수 있다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맡은바 소임을 다해 주는 여러분들이 있어 든든하고 감사하다고 말했다.

 황 시장은 덧붙여 구제역 등으로 인해 지역경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제수용품 등은 재래시장을 이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안성시 민··군이 하나 된 이러한 노력으로 구제역이 조기에 종식되기를 소망해 본다.

 

 


지역

더보기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안성은 전력 공급지가 아니다” 안성시의회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초고압 송전선로 안성지역 관통 건설 계획과 관련, 발 빠르게 지난 3월 18일 제23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공식 철회 요구 결의에 이어 안정열 의장의 반대를 위한 삭발식 단행과 송전선로 건설 반대 리본패용 등 한전의 일방적 추진에 맞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시민과 함께하는 기자회견을 통해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촉구에 나서는 증 반대 투쟁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안성시의회는 시민의 건강과 지역 환경을 위협하는 용인 죽능리 LNG열병합발전소 건설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며, 해당 사업의 부당성과 환경영향평가 절차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지난 4일 오후 시청 별관 앞에서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안정열 의장을 비롯해 전·현직 의원, 보개면 석우 마을 김재홍 이장, 박성순 청년회장 등이 참석, 주민 동의 없는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즉각 중단을 외쳤다. 시의회는 성명서에서 “SK이노베이션과 중부발전이 용인시 원삼면 죽능리 용인 SK 부지 내에 1.05GW 규모의 LNG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경 10㎞라는 가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