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문화관광 발전 위해 도의원들 팔 걷고 나섰다

양운석‧백승기 ‘죽주산성 테마역사공원사업 추진’ 현장점검

 역사적 가치와 애국지역 이란 정체성에 빛나는 죽주산성 공원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안성출신 도의원들이 팔 걷고 나섰다.

 경기도의회 양운석‧백승기 도의원이 지난 15일 경기도의회 안성상담소에서 ‘죽주산성 테마역사공원사업’에 대해 안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팀 관계자와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죽주산성은 기념물 제69호로 지정(1973. 7. 10. 지정)된 문화재로 2015년 죽주산성 테마역사공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소재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죽주산성 테마역사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숲 가꾸기와 수변공원 정비 공사는 2018년 완료했으며 진입도로 및 주차장 등 공사는 2021년까지 마무리 할 계획이다.

 이날 시청 관계자는 조성사업의 진행 현황에 관해 진행상황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하여 보고했다. 또한, ‘진입도로 및 주차장 개설공사’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누었다.

 이에 양운석의원과 백승기의원은 “죽주산성 테마역사공원이 활성화가 되어 안성시 문화관광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문화관광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정담회를 마련할 것”이라고 뜻을 밝힌 뒤 “안성시문화재 보존을 위해 노력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경기도의회 안성상담소 ☎673-5220/안성시 보개원삼로 1, 2층(봉산동 16, 염광빌딩)에서 오전 10시~오후 6시 운영된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