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민 의원, 작년 전기화재로 재산피해액 2천억원, 3년새 3배 증가

인명·재산피해 줄이기 위한 예방조치, 안전점검 중요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한 화재의 재산 피해액이 지난한해 2천억원을 넘겨 3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간 동안 전기화재로 41명이 숨지고, 298명이 다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이 되고 있다.

 2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규민 의원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전기안전사고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전기화재로 인한 재산피해는 2천207억원으로 2016년 627억원보다 약 3.5배 늘었는데 이를 연도별로 분류하면 2016년 627억원에서 2017년 1천48억원, 2018년 1천130억원, 2019년 2천207억원으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유독 재산피해가 컸던 것은 4월 강원 고성·속초 산불로 인한 피해액 1천220억원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산림 면적 1천267㏊를 태운 고성·속초 산불은 한국전력의 전선 노후 및 부실 시공·관리 등 복합적인 하자로 인해 전선이 끊어지면서 발생한 전기화재였다.

 지난해 전기화재는 총 8천155건 발생해 총 화재 4만102건 중 20.3%의 점유율을 차지했는데 이를  2016년과 비교하면 전기화재 건수는 7.8% 늘었고, 점유율은 2.9%포인트(p) 상승했다.

 원인을 보면 전선의 손상으로 두 가닥의 전선이 접촉하면서 순간적으로 많은 열이 발생하는 단락(합선)이 5천603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접촉 불량(856건), 과부하(688건) 등 순이며, 장소별로는 주택 및 아파트 등 주거시설에 발화한 전기화재가 2천614건(32.1%)으로 가장 많았다.

 공장 및 작업장 등 산업시설(1천564건·19.2%), 간이음식점 및 노래연습장 등 생활서비스(1천321건·16.2%)에서도 전기화재가 잦았는데 감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도 2016년 18명에서 지난해 27명으로 늘었다. 부상자는 528명에서 481명으로 줄어 총 사상자는 546명에서 508명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장소별로는 전기공사·보수 현장(38.4%)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직업별로는 전기기술자(37.4%)의 비중이 가장 컸다.

 이규민 의원은 "전기화재는 자칫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와 전기안전공사는 사전 예방조치, 전기 안전점검 등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고사 직전 지역언론,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으로 활성화 모색한다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언론(지방일간지,지역주간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오경 민주당 간사를 비롯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윤덕, 박수현, 양문석, 이기헌, 조계원 등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오는 9월 25일 오전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역주간신문 165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시도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방일간신문 9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국민이 직접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지원금을 주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사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 투명하고 공정한 미디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를 임오경 등 8명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수현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