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 제192회 임시회 회기 중 용인SK하이닉스 문제가 논란의 대상이 됐다. 이번 임시회에서 유원형 부의장과 유광철 의원이 각기 시정질문과 10분 발언을 통해 “용인SK반도체산업단지에서 발생될 폐수가 1일 36만톤이 고삼저수시로 직접 유입되고, 특히 폐수에 주 오염원인 구리, 납, 폐놀,벤젠, 다이옥신 등 29종의 특정 유해물질이 포함되고 있어 고삼저수지가 SK반도체산업단지 폐수의 저류소로 전락될 수 있다”지적하고 공론화 절차 없이 서명한 협약서의 무효 선언을 김보라 시장에게 제안했다.
김 시장은 답변에서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에 대한 내용은 처음 접하고 수질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안성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또 어떤 방법이 안성시민들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다”며 “그러나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산단 조성은 법적 기준이 충족되면 승인되어야하고 또한 진행할 수밖에 없는 사업이었고, 더구나 안성시는 어떠한 인허가 권도 가진 게 없는 상황일 뿐이라 사실상 국책사업으로 안성시가 할 수 있는 일들은 너무나도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유원형 부의장은 협약서 서명을 고삼새마을어업계와 약속을 어기고 급하게 진행한 이유에 대해 묻자, 김 시장은 “용인SK산단과 관련 상생협의체를 지난해 7월 28일 경기도청 민관협치과 추진으로 안성, 용인 양 도시간 갈등조정을 위해 구성, 경기도 행정부시장을 위원장으로 출범, 다섯 차례에 걸쳐 회의를 진행했고 올 1월 18일 경기도로부터 협약식 일정을 통보받는 등 상생협의체 주요 일정도 경기도가 주관, 용인시 SK하이닉스 등 5개 기관의 의견을 조율해 이루어졌고, 안성시가 주도해 협약 일정을 조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한강유역 환경청 상대로 환경영향평가를 심의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한강유역 환경청이 안성기의 의견을 무시하고 상생협의체 시작되자마자 환경영향평가 본안을 조건부 동의로 통과시켜 버렸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상황 속에서도 수질, 산업단지 수변개발, 상생협력, 농산물, 하천, 도로 등 7가지 분야에 대해 다섯 차례 협의와 전체 회의를 비롯해 피해 지역주민들이 참석한 18회 공식 실무협의회와 수많은 비공식 회의를 열었고, 최종적으로 협약에 대해 주민대표들의 의사를 묻고 시의회에 협약한 내용을 사전설명한 뒤 협약서를 체결했다”면서 “SK하이닉스는 대한민국 시가총액 2위 기업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며 사실상 국책사업으로 안성시가 할 수 있는 일들은 너무나 제한적이었지만 안성 시민들이 도청 앞에서 또 하이닉스 사업장 앞에서 그 추운 겨울날에도 소리 높여 외친 결과 상생협의체 창구를 만들어 낼 수 있었으며, 협약을 통해 안성시가 얻어낸 성과 또한 많다”고 강조했다.
유원형 부의장은 계속해 “반도체 조성에 필요한 열쇠를 쥐고 있는 안성시가 조금만 더 버텼으면 200억은 물론 어마어마한 사업비를 받을 수 있지 않았느냐”질문에 김 시장은 “안성시가 왜 힘이 그것밖에 없느냐, 좀 더 적극적으로 해야하지 않느냐는 얘기에는 충분히 질책 받아야 하지만 그렇게 해서 이 문제들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며 시민들에게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면서 “2019년 안성에 입지가 안 되고 용인으로 됐을까? 우리가 힘이 있다면 대기업을 안성으로 유치해서 시민들의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텐데 하고 생각하면 안타깝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