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풍, 우박 피해액 총 1천400여 농가에 82여억원

농민들 우박 피해 대책위 구성, 재난재해 차원 보상요구

 “수확기에 불어 닥친 강풍과 우박 때문에 1년 농사 망쳤다”

 안성시 공도, 미양, 서운, 금광면 일대에 지난 1일 밤 11시를 전후해 강풍을 동반한 직경 10~15mm 포도알갱이 만한 우박이 20여분 정도 떨어지면서 수확기의 농작물을 강타해 큰 피해를 냈다.

 이들 지역 벼는 도복되고 벼 알들이 떨어지는 탈립 현상으로 논바닥에 노랗게 됐고, 배의 경우 90% 가량 낙과 되거나 나무에 매달린 채 우박으로 큰 상처를 입어 정상 출하하기 불가능 할 상태가 됐다.

 포도나무 비가림 시설도 구멍이 심하게 뚫어졌고 배추, 무, 대파, 들깨 등 농작물과 시설물이 마치 폭격을 맞은 듯 피해가 극심해 농민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안성시가 11일까지 농작물과 시설의 피해 상황을 조사한 결과 △벼 659.ha(괄호안 농가수 679) △과수 227.ha(218) △배추, 무 엽채류 58.07ha(210) △들깨, 콩 등 일반작물 32ha(114) △인삼 1.6ha(2) △화훼 8ha(3) △기타채소 21ha(66)이며, 시설물 1.1ha(6)와 단순 비닐 파열 등 시설물 75ha(126) 등 1천424 농가에 1천112.9ha, 금액으로 총 82여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안성시는 이에 따라 농작물의 농약대, 대파대, 그리고 농림시설인 간이비가림 시설, 방조망, 방충망 등의 피해 119명 농가에 대한 생계지원비 등 총 16억2천600여만원(지방비 5억2천1백83여만원)을 피해복구지원 소요 예산을 경기도와 농림식품부에 정식 요청했다.

서운, 미양면 등 우박피해 농민들로 구성된 대책위 소속 한 농민은 “피해가 극심해 단기간에 재기할 수 없을 상황”이라며 “안성시가 피해 면적과 품목별 단가를 정확히 조사해 재해보상 차원에서 보상 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안성시의회도 임시회 농업기술센터 주요업무 실적 청취 과정에 유광철 특위 위원장, 유원형 부의장, 송미찬, 안정열, 반인숙 의원 등은 시 당국에 “농민들이 피해의 아픔을 딛고 재기할 수 있도록 재난재해에 사용할 수 있는 재정 안정화 기금을 활용해 조기에 지원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발휘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고사 직전 지역언론,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으로 활성화 모색한다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언론(지방일간지,지역주간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오경 민주당 간사를 비롯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윤덕, 박수현, 양문석, 이기헌, 조계원 등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오는 9월 25일 오전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역주간신문 165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시도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방일간신문 9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국민이 직접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지원금을 주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사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 투명하고 공정한 미디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를 임오경 등 8명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수현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