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안성 바우덕이축제 빛과 그림자

최호섭 시의원 “축제의 다양성, 참신성, 대중성 부족” 지적

 2023년 바우덕이 축제가 10월 6일부터 9일까지 안성맞춤랜드와 안성천 일대에서 열렸었다.

 최호섭 시의원은 “축제는 다양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었으며, 친환경 축제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최소화하고 다회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 또한, 실시간 교통 상황을 중계해 글로벌 축제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극찬했다.

 그러나 “모든 축제를 평가할 시 잘한점 또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는 것처럼 바우덕이 축제도 예외는 아니다.”전제하고 “관람객들은 축제의 다양성과 참신성, 대중성 부족과 또한 일부 프로그램들은 체험자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고, 이로 인해 일부 관람객들이 실망감을 느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읍면동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는 길놀이행사로 예년에 비해 많은 호응을 이끌어 내지 못하면서 곧 축제 개막식의 빈자리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길놀이 행사 시 외부인의 길놀이 참여에 대한 문제, 축제 공무원, 자원봉사자에 대한 식사쿠폰 문제 등도 짚어봐야 할 사안이다.

축제의 교통 체증 문제도 여전히 존재하며 축제 기간 동안 자가 차량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교통 체증이 심화되었는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더 많은 셔틀버스를 운영하거나, 셔틀버스 이용을 장려하는 캠페인을 실시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또한, 일부 관람객들은 축제의 환경친화적인 측면에 대해 우려를 표현했다.”며 “축제 기간 발생하는 쓰레기 문제와 에너지 소비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이밖에도 점검해야 하는 민원들이 다수 발생했다.”면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의원은 올바른 평가와 감사를 통해 성공 축제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약속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안성은 전력 공급지가 아니다” 안성시의회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초고압 송전선로 안성지역 관통 건설 계획과 관련, 발 빠르게 지난 3월 18일 제23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공식 철회 요구 결의에 이어 안정열 의장의 반대를 위한 삭발식 단행과 송전선로 건설 반대 리본패용 등 한전의 일방적 추진에 맞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시민과 함께하는 기자회견을 통해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촉구에 나서는 증 반대 투쟁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안성시의회는 시민의 건강과 지역 환경을 위협하는 용인 죽능리 LNG열병합발전소 건설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며, 해당 사업의 부당성과 환경영향평가 절차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지난 4일 오후 시청 별관 앞에서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안정열 의장을 비롯해 전·현직 의원, 보개면 석우 마을 김재홍 이장, 박성순 청년회장 등이 참석, 주민 동의 없는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즉각 중단을 외쳤다. 시의회는 성명서에서 “SK이노베이션과 중부발전이 용인시 원삼면 죽능리 용인 SK 부지 내에 1.05GW 규모의 LNG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경 10㎞라는 가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