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폐열도 돈 되네’

도내 지자체 새 수입원 각광

 생활쓰레기 소각장의 혐오시설에서 고유가시대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수입원이되고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도내에서 운영중인 23개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118만t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한 폐열을 판매해 294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2011년 249억 원 보다18% 늘어난 45억이다.

 도내 지난해 도내에서 발생한 소각 폐열은 256만Gcal(기가칼로리) 가운데 4.2%인 242만Gcal를 열병합발전소에 255억 원, 한국전력에 38억 원에 판매했다는 것이다. 도는 폐열로 올린 수익은 1억7천만달러의 원유 수입대체 효과와 맞먹는 액수라고 설명했다. 또 이로인해 연간 67만 천289t의 이산화탄소를 줄인 효과를 만들었다.

 소각폐열은 타는폐기물을 소각로에서 태우면서 발생하는 연소열로 증기 또는 온수, 전기 등의 에 지로 회수해 이용한다. 도 관계자는 “소각폐열 판매로 164만 배럴의 원유 수입대체 효과를 봤으며 이에 따라 67만8천289t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감축 했다” 며 “혐오시설로 인식되던 생활쓰레기 소각장이 효자시설로 탈바꿈하고있다” 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안성시의회, 죽산·일죽 지역 현안 해결 위한 간담회
안성시의회(의장 안정열)가 지난 22일 소통회의실에서 죽산면·일죽면 지역 주민들과 지역 내 주요 현안 해결을 위 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2024년 집중호우로 붕괴된 죽산 제1교의 신설 교량 건설 및 기존 세월교 철거 문제, 그리고 일죽면 청미천 둔치 주차장 대형버스 진입 문제 등이 집중 논의 됐다. 죽산 제1교 신설 교량은 2027년 준공 예정이며, 이에 맞춰 기존 세월교는 하천 기본계획에 따라 철거될 계획이다. 그러나 죽산면 하구산 마을(대표 김주호) 주민들은 최소 한 개의 세월교를 유지해 통행 편의 등을 보장해 달라 요구했다. 이에 관련 부서는 안전과 유수 흐름을 고려한 계획임을 설명하며, 주민 불편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소통을 약속 했다. 이어진 일죽면 청미천 둔치 주차장 관련 간담회에는 안성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회장 이종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일죽 시장 상권 활성화를 위한 대형 버스 진입 방안과 화물차 장기 주차 방지를 위한 차단기 설치 요청이 제기 됐다. 이에 관련 부서는 해당 주차장이 ‘주차장법’상 정식 주차 장이 아닌 편의시설로 분류되며 안전상 제한적 운영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정열 의장은 “지역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