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인 칼럼) 축 부활절

Happy Easter

부 활 절

(Happy Easter)

 고정열 목사(안성제일장로교회)

 금년의 부활절은 331일이다. 성탄절은 1225, 제 날짜를 가지지만 부활절은 해마다 다르다. 어느 해는 3, 어느 해는 4월이다. 부활절은 우리의 죽음의 날짜와 연관이 있지 않을까? 언제 죽을지 모른다. 그러나 기독신자들에게는 반드시 부활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믿는다. 어느 날인지 몰라도 죽음은 있고 죽음 후에는 천국에서 다시 깨어나 구원받은 성도들이 영생복락하는 영원한 생명이 있다는 것을!

 부활절은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예수가 이 세상에 와서 죄인들을 구원하려고 십자가를 지고 죽었다가 3일 만에 다시 살아나신 날을 의미한다. 생물학에서는죽은 자가 어떻게 다시 살아날 수 있느냐?고 반문한다. 아는가! 기독교 경전인 성서에서는 예수의 동정녀 탄생, 죽은 자를 살리심, 물위를 걸으심, 5개로 굶주린 오천 명을 먹이심등 예수가 행하신 기적과 함께 하나님이 그의 독생자 예수를 무덤에서 다시 살리신 기적을 분명하게 밝혀두고 있다. 예수의 부활을 목격한 다수의 목격자들의 증언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고, 예수의 시신이 묻혔던 무덤이빈 무덤이 되었다는 말씀도 있다. 예수의 부활을 실제로 본 그의 제자들이 새로운 힘을 얻어 순교를 각오하고 부활의 증인이 되었다는 말씀이 기록,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예수와 그 교회를 박해하던 바울이 부활하신 예수를 만난 후 세계를 전도하며예수는 인류의 구원 주임을 증거하는 말씀이 생생한 언어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 기독교의 발전에는예수가 부활하셨다는 역사적 사실이 전제되어 있는 것이다.

이스터(Easter)섬은 부활절에 발견되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미국에 있는 이스터병원은 모든 환자들이 예수가 사망에서 살아나심처럼 병에서 구원받으라는 의미로 지어진 이름이다. 부활절에 계란을 먹는 풍속은 딱딱한 껍질을 병아리가 깨고 나오듯 생명의 숭고함을 기념하는 의미를 가진다. 이 모든 기록이나 사건은 예수의부활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지금 전 세계는 부활절 축제에 쌓여있다. 고통이 심한 세상에서 봄의 향기와 함께 예수의 부활의 향기로 인해 전쟁이나 폭력, 가난과 불평등의 악취들이 사라지고 새로운 희망이 솟아나기를 기도드리는 것이다. 그렇다! 부활절이 단순히 기독교의 한 축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의 구원과 희망의 축제가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안성시 기독교총연합회에서는 예수를 따르는 성도들이 함께 안성제일장로교회에서 부활절 연합예배를 드린다. 나는 기도한다. 어두운 영들이 꽉차있는 안성 땅에서 죽음을 이기고 다시 사신 예수 그리스도의 기운이 시민들에게 새로운 힘과 소망을 주기를 기도하며 또한 부활의 기운이 저 북녘 땅 주민들에게 강력한 능력을 주며 중동의 봄을 일으키듯 민주화의 열기로 일어나서 그들도 세계와 평화 공존하는 은총이 있기를 기도드린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