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 공동화장장 추진

8개 지자체 10월까지 부지 선정

 부천·안양시 등 자체 화장시설이 없는 경기도의 8개 자치단체가 2018년까지 공동으로 종합 장사시설을 짓는 다. 화장 수요는 늘지만 도심에 화장시설이 없던 자치단체들이 머리를 맞대고 ‘상생의해법’ 을 찾은 결과다.

 채인식 화성시장 등 도내 8개 자치단체장들은 10일 화성시에 ‘화성시 공동형 종합 장비시설 건립 추진을 위한 상호 양해각서’ 를 맺었다. 화성·부천·안양·평택·시흥·군포·의왕·과천시 등 8곳이 참석했다.

 화성시가 화장장의 터를 내고 건립에 소요되는 건립비는 참여 자치단체가 분담하는 방식이다. 이 시설은 30만 ㎡의 터에 화장료 10가 장례식장, 봉안당, 자연장지 등을 갖출 예정으로 건립비는 1천 200억 원에 이른다. 여기서 220억 원의 국·도비를 뺀 960억 원을 참여 지자체가 나눠 낸다는 것.

 화성시는 화장장 사업비를 줄이고, 나머지 자치단체들은 화장장 확보 고민을 덜게된 셈이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이들 8개시의 사망자는 모두 1만 2천 983명이며, 하루 26명씩 9675명이 화장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이 되면 하루 화장 건수는 58건, 연간 화장수는 2만 1천 306건으로 갑절 이상 늘 것으로 예상된다. 화성시는 이달에 부지를 공모하고 10월까지 부지를 선정할 예정인데 현재 3~4곳에서 주민들의 신청 움직임이있다. 시 관계자는 “화장장 시설 유치 지역에 대해서는 인센티브가 적지 않아 신청 움직임이 여러곳 있다” 면서 화장장 유치지역에는 주민 편익시설 178억 원, 주민지원사업 150억 원 등 328억 원이 지원된다.


지역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 봉하마을 참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위원장 윤종군 국회의원)가 지난 21일,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해 묘역을 참배했다. 이번 행사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김보라 안성시장, 백승기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원과 시민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이번 참배에는 지역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산을 미래세대가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참배단은 10대의 버스를 나눠 타고 오전 7시 안성을 출발해, 오후 1시 봉하마을에서 공식 참배 일정을 진행했다. 헌화와 분향 등으로 진행된 참배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윤종군 국회의원은 방명록에 “네 번째 민주정부, 네 번째 민주당 대통령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을 자랑스럽게 보고드립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지난 14주기부터 매년 수백 명의 당원과 시민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올해는 대선 승리 후 찾아뵐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자리였다. 안성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바라는 시민들과 당원들의 열망을 다시금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참배를 마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