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목표가격 4천원 인상

8년만에 인상·고정직불금도 ha당 10만원

 쌀 소득보전 직불금 산정기준이 되는 쌀 목표가격이 2006년 제도 도입 이후 8년만에 처음으로 4천원 인상된 다. 이와 함께 쌀 고정직불금 지급단가도 1ha 10만원씩 오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부터 2017년까지 생산되는 쌀에 적용할 목표 가격을 기존보다 2.4% 인상한 17만4천83원으로 결정해 이달 중 국무회의를 거쳐 국회에 목표가격 변동의 요청서를 제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쌀 목표가격 제도는 2005년 쌀 수매제를 폐지하면서 도입한 농가소득 보전장치로 산지 쌀 값이 목표가격 보다 떨어지면 차액의 85%를 직불금 형태로 보전해 주기로 한데 따른것이다.

 쌀 고정직불금은 농업진흥지역안의 농지에 대해서는 1ha당 85만127원, 농업진흥지역 바깥은 68만 102원이 적용된다. 쌀 목표가격제도는 그 동안 농림단체의 강도 높은 쌀 목표가격 인상 요구에도 불구하고 농식품부는 쌀 목표가격을 인상하면 생산유발 효과로 산지 쌀 값이 떨어져 농가소득이 줄어들고 변동직불금은 더 증가할 공산이 크다는 이유로 인상에 신중한 견해를 보여왔다. 이와 관련해 쌀전업농중앙연합회는 지난 3월부터 쌀 변동직불금의 목표가격을 23만원으로 올릴 것을 요구하는 운동을 벌여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고정직불금 인상은 농업인 소득 안정을 위한 새 정부의 핵심공약사업을 이행하는 것” 이라 며 “2017년까지 고정직불금을 ha당 100만원씩 인상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 봉하마을 참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위원장 윤종군 국회의원)가 지난 21일,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해 묘역을 참배했다. 이번 행사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김보라 안성시장, 백승기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원과 시민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이번 참배에는 지역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산을 미래세대가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참배단은 10대의 버스를 나눠 타고 오전 7시 안성을 출발해, 오후 1시 봉하마을에서 공식 참배 일정을 진행했다. 헌화와 분향 등으로 진행된 참배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윤종군 국회의원은 방명록에 “네 번째 민주정부, 네 번째 민주당 대통령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을 자랑스럽게 보고드립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지난 14주기부터 매년 수백 명의 당원과 시민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올해는 대선 승리 후 찾아뵐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자리였다. 안성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바라는 시민들과 당원들의 열망을 다시금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참배를 마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