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형 축산업 지자체 허가 대상

기존 사육농가 1년이내 사육 등 허가기준 갖춰야

 축산농가들의 반발속에 축산업을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전환하는 내용의 축산법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23일부터 시행됐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축산법 개정으로 기업농 규모(소 100마리, 돼지 2천마리, 닭 5만마리 등)의 가축사육업을 새로 하려면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 사육업자는 1년 이내에 사육·소독·방역시설 등 허가 기준에 맞는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단위 면적당 적정 사육 기준을 지켜야 한다. 신규 사육업자는 도로에서 30m 이내, 축산관련시설에서 1500m 이내에는 축산시설물을 짓지 못한다.

 축산법 개정으로 종축업, 부화업, 정액 등 처리업의 경우 규모에 관계없이 허가 대상이 되며 가축사육업의 허가 대상도 사육 규모별로 2016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된다. 이에 따라 전업농 규모(기업농 규모의 2분의 1)는 내년 2월부터, 준전업농 규모(기업농 규모의 3분의 1)는 2015년 2월부터, 그리고 사육면적 50㎡ 이상 농가는 2016년 2월부터 허가 대상이 된다.

 벌점도 강화되어 무허가로 가축을 사육하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처벌을 받게 되며, 미등록 상태로 가축을 사육할 경우 과태료 부과 대상이다. 이와 관련 축산농가에서는 “아직 영세한 규모의 농가가 많은 상황에서 시설과 장비를 갖추는데 부담만 가중시키게 된다” 며 반대의견을 내놓았다. 정부는 축산법 개정에 대해 지난해부터 지역 축협을 통해 사육농가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및 교육을 실시, 축산 농가의반발을 최소화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 봉하마을 참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위원장 윤종군 국회의원)가 지난 21일,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해 묘역을 참배했다. 이번 행사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김보라 안성시장, 백승기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원과 시민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이번 참배에는 지역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산을 미래세대가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참배단은 10대의 버스를 나눠 타고 오전 7시 안성을 출발해, 오후 1시 봉하마을에서 공식 참배 일정을 진행했다. 헌화와 분향 등으로 진행된 참배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윤종군 국회의원은 방명록에 “네 번째 민주정부, 네 번째 민주당 대통령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을 자랑스럽게 보고드립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지난 14주기부터 매년 수백 명의 당원과 시민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올해는 대선 승리 후 찾아뵐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자리였다. 안성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바라는 시민들과 당원들의 열망을 다시금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참배를 마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