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유역환경청은 유해화학 물질을 취급하는 중소사업장의 화학사고 사전예방 및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 중소기업간 안전관리 공동체’ 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대·중소기업간 안전관리 공동체(이하 공동체)란 화학 물질을 취급하는 대기업과 인근 지역의 중소사업장의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정보와 화학사고 발생 시 필요한 방 제 장비를 공유하는 모임을 말한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이에 대해 “수도권의 경우 중·소규모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이 밀집해 있어 상대적으로 화학 사고 발생 우려가 높지만 이들 사업장은 자금 및 인력부족 등으로 인해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번에 공동체를 추진하게 됐다.” 며 공동체 구성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수도권지역 공동체는 크게 4개 권역(동·서·남·북)으로 구분해 각 권역별로 1~8개의 공동체를 구성 했으며 ‘공동체 1개반 당 대기업 1~3개소와 중소기업 2~8개소가 참여토록 구성해 총 124개 업체 19개반(대기업 25개소, 중소기업 95개소)으로구성을 완료했다.
각 공동체는 반별 또는 권역별로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우수사례 등 정보교류, 우수사업장 현장 견학을 통한 유독물 관리자 인식제고 방제장비 공유 등을 통한 화학사고 공동대응 네트워크 구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또한 한강청은 ‘공동체’ 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운명을 위해 화학물질 관리 및 사고 대응 컨설팅, 화학물질 관련법 제·개정 시행 안내, 화학물질 관련 직원 교육 등 다양한 지원 대책을 운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