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10명 중 6명이 우리 농업의 발전 가능성이 부정적 시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19일 발표한 “농업농촌에 대한 2013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에 따르면 농민 64.7%가 농업의 발전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판단한 반면 도시인은 긍정적(34.6%)이라는 응답을 보였다. 또 10년 후 한국의 농업을 보는 시각은 농민 18.3%와 도시민 27.3%가 희망적이라고 답했으며, 비판적이라는 응답은 농민54.3%, 도시민30.3%로 집계됐다.
농민을 상대로 올해 농사 만족도를 질문한 결과 만족 (33%)과 ‘불만이다’ (34.2%)는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다는것이다. 올해 농사가 불만족스러운 이유로는 △농자재 값 상승 (30.7%)△소득감소(29.6%)△농산물 수입 증가로 가격·경쟁력 저하(25.4%)△정부의 관심과 지원 감소 (10.1%) 등을 꼽았다. 농민이 느끼는 위험요인으로는 △일손부족(16.7%)△ FTA 등 농산물 개방확대(16.2%)△농업 생산비 증가 (16.1%) 등이 가장 많이 거론됐다고 한국농촌경제연구소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