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사료첨가용 미생물 처리제와 악취 감소제가 현장에서 양돈농가의 사육환경 개선에 큰 효과를 보인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에 따르면 사료첨가제용 미생물 처리제는 된장 에서 분리한 새로운 미생물 피치아화리노사를, 악취감소제는 토양에서 분리한 바실러스서브틸리스를 이용했다는 것이다.
사료첨가용 미생물제를 기존 사료에 0.2% 비율로 120일령 비육돈에 섞어 먹인 결과 4주 후부터 돼지우리 냄새의 정도가 심함에서 감소로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또 돈분상태도 심함에서 감소로 개선됐고 돼지 피부 상태도 심함에서 양호로 좋아졌다. 악취 감소제를 1주일에 1회 돈분 중량 대비 3%의 비율 로 뿌렸을 경우 악취가 매우 심함에서 감소로 크게 줄었다. 사료첨가용 미생물제는 돼지 생육을 촉진해 77.5kg에서 35일 후 111.8kg으로 늘어 출하시기를 10일 정도 앞당 길 수 있었다. 미생물제를 먹이면 돈분이 묽어 처리가 쉽고 이를 이용해 액체비료나 고체비료를 만들 때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과 유재홍 박사는 “이번 사료첨 가용 미생물제와 악취감소제의 현장 실증연구 결과가 악취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돈농가의 사육환경개선에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사료첨가용 미생물 처리제와 악취 감소제 제조기술에 대해 지난해 생균제 전문업체에 기술이전을 했다” 며 “현재 제품으로 대량 생산해 양돈농가에서 구입할 수 있다” 고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