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랑

圓一 김광연

참사랑

圓一 김광연

 

  보스턴의 한 보호소에 앤이란 소녀가 있었다. 앤의 엄마는 죽었고, 아빠는 알콜중독자였다. 보호소에 함께 온 동생마저 죽자 앤은 충격을 받아 미쳤고, 실명까지 했다. 수시로 자살을 시도하고, 괴성을 질러댔다. 결국 앤은 회복불능 판정을 받고 정신병동 지하 독방에 격리 수용되었다.

 모두 치료를 포기했을 때 노()간호사인 로라가 앤을 돌보겠다고 자청했다. 로라는 정신과 치료보다는 앤의 친구가 되어 주었다. 날마다 과자를 들고가서 책을 읽어 주기도 하고, 듣거나 말거나 괘념(掛念)치 않고 앤 앞에 무릎 꿇고 기도를 해주었다. 그렇게 한결같이 사랑을 쏟았지만 앤은 말이 없었고, 아무런 반응도 없었으며 음식도 잘 먹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독방 창살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느꼈던지 조금씩 반응을 보이며 정신이 돌아온 것처럼 말을 했고, 말하는 빈도수가 점차 늘어가기 시작했다. 마침내 2년 만에 앤은 정상인 판정을 받아 파킨스시각장애아 학교에 입학했고, 웃음을 되찾았다.

 그 후 로라가 죽는 시련도 겪었지만 로라가 남겨준 희망을 볼 수 있는 마음의 눈으로 무지개 같은 희망을 보면서 뼈아픈 시련을 극복하고, 최우등으로 학교를 졸업했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한 신문사의 도움으로 개안수술을 받아 성공적으로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수술 후 얼마 안 되어 앤은 신문기사에서 다음과 같은 광고를 보게 된다.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며 말도 못하는 아이를 돌볼 사람 구함앤은 로라에게 자신이 받은 그 사랑을 그 아이에게 돌려주기로 결심했다. 앤은 그 아이를 20세기 빛내는 역사적 인물로 키워내는데 성공했다. 그 아이가 바로 헬렌켈러이고, 그의 선생님이 엔설리반(Anne Sullivan)이다.

 로라는 앤과 함께 있어주었고, 앤의 고통을 공감하면서 앤을 정상인으로 회복시켰고, 앤은 헬렌켈러와 48년 동안 함께 살면서 삼중고의 아픔을 함께했다. 앤 설리반은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시작하고 실패하는 것을 계속하라, 실패할 때마다 무엇인가를 성취할 것이다. 네가 원하는 것은 성취하지 못할지라도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가치 있는 것을 성취하리라, 가치 있는 그것을 성취하게 하는 것이 참사랑이다. 참사랑이 곧 하느님이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