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 2001년 대비 65% 감소

하천 및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도 낮은 수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2014 다이옥신 오염실태조사 결과 발표

대기 0.197pgTEQ로 환경기준치 0.6pgTEQ 보다 크게 낮아

 경기도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가 환경기준치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28일 발표한 ‘2014년 경기도내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내 대기중 다이옥신 농도는 0.197pgTEQ로 조사를 시작한 2001년보다 65%(0.555pgTEQ)가 감소했다.

 연구원은 지난 2001년부터 수원, 안산, 시흥, 부천, 고양, 양주, 동두천, 포천, 구리, 양평 등 10개 시·군에 측정기를 설치하고 분기별 1, 연간 총 4회 대기 중 다이옥신 평균농도를 측정해왔다. 하천과 토양의 다이옥신 농도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주요 13개 하천 물의 다이옥신 농도는 1L당 평균 0.083pgTEQ로 조사됐다. 이는 일본의 하천수질 기준(1.0 pgTEQ)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토양은 사고민원발생지역 17개소에 대한 다이옥신 농도를 측정한 결과로 토양 1g 중 평균 11.002pgTEQ로 일본 환경기준(1,000)1/100 수준이었다. 어린이놀이시설 14곳의 다이옥신 농도는 토양 1g 중 평균 3.387pgTEQ로 일본 환경기준의 1/300 수준으로 조사됐다. 하천 및 토양의 경우 아직 다이옥신에 대한 국내환경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연구원 관계자는 경기도 대기, 하천, 토양은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다이옥신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수준.”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용어 설명]

다이옥신 : 폐기물소각, 화재, 담배 등을 통해 배출되는 다이옥신류와 퓨란류의 총칭(210), 그 중 17종이 인체에 유해.(발암성, 심장기능 장애 등)

TEQ : 다이옥신 이성질체 중 가장 독성이 강한 2,3,7,8-TCDD(Tetra Chloro Dibenzo Dioxin) 독성을 1로 하고 17종의 다이옥신에 대하여 값을 적용해 나타낸 다이옥신 농도

pg(피코그람) : 1조분의 1그람(10-12g)


지역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 봉하마을 참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위원장 윤종군 국회의원)가 지난 21일,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해 묘역을 참배했다. 이번 행사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김보라 안성시장, 백승기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원과 시민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이번 참배에는 지역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산을 미래세대가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참배단은 10대의 버스를 나눠 타고 오전 7시 안성을 출발해, 오후 1시 봉하마을에서 공식 참배 일정을 진행했다. 헌화와 분향 등으로 진행된 참배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윤종군 국회의원은 방명록에 “네 번째 민주정부, 네 번째 민주당 대통령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을 자랑스럽게 보고드립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지난 14주기부터 매년 수백 명의 당원과 시민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올해는 대선 승리 후 찾아뵐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자리였다. 안성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바라는 시민들과 당원들의 열망을 다시금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참배를 마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