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 2001년 대비 65% 감소

하천 및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도 낮은 수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2014 다이옥신 오염실태조사 결과 발표

대기 0.197pgTEQ로 환경기준치 0.6pgTEQ 보다 크게 낮아

 경기도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가 환경기준치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28일 발표한 ‘2014년 경기도내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내 대기중 다이옥신 농도는 0.197pgTEQ로 조사를 시작한 2001년보다 65%(0.555pgTEQ)가 감소했다.

 연구원은 지난 2001년부터 수원, 안산, 시흥, 부천, 고양, 양주, 동두천, 포천, 구리, 양평 등 10개 시·군에 측정기를 설치하고 분기별 1, 연간 총 4회 대기 중 다이옥신 평균농도를 측정해왔다. 하천과 토양의 다이옥신 농도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주요 13개 하천 물의 다이옥신 농도는 1L당 평균 0.083pgTEQ로 조사됐다. 이는 일본의 하천수질 기준(1.0 pgTEQ)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토양은 사고민원발생지역 17개소에 대한 다이옥신 농도를 측정한 결과로 토양 1g 중 평균 11.002pgTEQ로 일본 환경기준(1,000)1/100 수준이었다. 어린이놀이시설 14곳의 다이옥신 농도는 토양 1g 중 평균 3.387pgTEQ로 일본 환경기준의 1/300 수준으로 조사됐다. 하천 및 토양의 경우 아직 다이옥신에 대한 국내환경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연구원 관계자는 경기도 대기, 하천, 토양은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다이옥신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수준.”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용어 설명]

다이옥신 : 폐기물소각, 화재, 담배 등을 통해 배출되는 다이옥신류와 퓨란류의 총칭(210), 그 중 17종이 인체에 유해.(발암성, 심장기능 장애 등)

TEQ : 다이옥신 이성질체 중 가장 독성이 강한 2,3,7,8-TCDD(Tetra Chloro Dibenzo Dioxin) 독성을 1로 하고 17종의 다이옥신에 대하여 값을 적용해 나타낸 다이옥신 농도

pg(피코그람) : 1조분의 1그람(10-12g)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