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화장품 공장도 계획관리지역 입지 가능

경기도가 건의한 국토계획법 시행령 개정안 7월 7일부터 시행

유기농화장품 등 환경오염 우려 없는 업종 계획관리지역 내 입지허용

 유기농화장품, 천연염색물 제조 공장 등 천연 원료 사용으로 유해물질 배출이 적은 공장의 계획관리지역 입지가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화학제품제조시설은 원천적으로 입지가 불가능했었다.

 75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토계획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630일 국무회의를 통과, 7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경기도는 지난 2월 일자리창출과 투자유치를 위해 계획관리지역 입지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국토계획법 시행령 개정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했었다.

 이번 개정안을 살펴보면 천연물을 원재료로 사용하거나 다른 법령에서 별도로 원료, 공정 등을 엄격히 제한해 환경오염 우려가 낮은 업종에 대해 계획관리지역 입지를 허용했다. 기존에는 화학제품제조시설, 섬유제조시설 등은 사용원료와 공정에 상관없이 입지가 불가능했다. , 환경오염 우려가 크지 않다는 이유로 허가나 신고대상이 아닌 대기오염, 폐수 배출 공장의 경우도 업종에 상관없이 입지가 가능해졌다. 다만 지자체가 수립한 관리계획이 수립된 지역에 한정하도록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최근 기업들의 계획관리지역 입지수요가 증가추세에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규제완화로 기업의 시설투자가 촉진되는 투자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이번 개정안에는 도심 내에 건설되는 학교기숙사의 용적률을 일반주거지역의 경우 최대 300%까지 완화하거나,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 허가를 받아 취득한 토지의 경우 3~4년 동안 허가용도대로 사용해야 하는 이용의무기간을 자기주택이나 복지시설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 한해 2년으로 완화하는 등 토지이용 규제 완화 방안이 포함돼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