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에 큰 피해, 멸강나방 발생

초기 방제해야 피해 줄여

, 옥수수 등 벼과식물에 피해 주는 멸강나방 경기도내 발생

4(15mm) 이전에 방제해야 효과 높아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은 옥수수, 수단그라스, 잔디 등에 큰 피해를 주는 멸강나방이 도내 발생해 초기 방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75일 도 농기원은 여주시, 연천군 등에서 멸강나방 애벌레가 발생해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확산 속도가 빨라 도내 대부분 지역에도 발생이 우려된다며 빠른 방제를 당부했다.

이번에 발생한 멸강나방은 611~13일 사이에 중국에서 날아온 성충이 밤나무 꿀 등을 먹은 후 낙엽 등 마른풀에 알을 낳아 부화한 것으로, 현재 2~4(5~15mm 내외) 정도로 추정되며 가뭄이 지속되면서 발육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특히 멸강나방 유충은 벼과 식물이 부족하면 콩밭 등으로 이동하여 피해를 주기도 하므로 해당 작물을 중심으로 자주 관찰해 유충이 보이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적용약제로 방제를 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이수영 도 농기원 기술보급과장은 멸강나방은 애벌레가 3(10mm) 이내일 때에는 적용 농약을 1회만 뿌려도 방제가 가능하지만 4(15mm) 이상으로 커지면 야행성으로 변하면서 작물을 갉아먹는 속도가 매우 빨라져 피해가 커진다.”고 설명했다.

멸강나방 특성

멸강나방은 주로 매년 5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성충이 중국으로부터 날아오는 해충으로

   환경조건이 맞으면 수년에 한번씩 대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임

해외로부터 비래해온 성충은 교미 후 꽃의 꿀을 먹고, 지표면의 마른 잎에 산란하며 부화한

   애벌레는 , 옥수수, 화본과 목초 등을 폭식하여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큰 피해 발생

생활사

- 성충비래 : 주로 중국에서 저기압 통과일로부터 23일 사이에 비래

5월상순 6월중순에 발생이 많음

- 4령이후 야행성으로 변하며 섭식량이 급격이 증가하여 피해가 많음

- 비래성충은 꽃의 당밀을 흡즙 후 고엽에 산란 (1세대 후 700)

 

발생 현황 및 방제대책

강나방611~13일 중국에서 기류를 타고 비래

- 기 여주연천, 충남 서천천안, 제주에서 벼 ,옥수수, 목초지 발생

현재 논이나 화본과 목초지에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은 지속적 예찰이 요구됨

비래 후 1520일후가 방제적기이므로 애벌레 초기에 방제 전용약제 살포


지역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 봉하마을 참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위원장 윤종군 국회의원)가 지난 21일,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해 묘역을 참배했다. 이번 행사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김보라 안성시장, 백승기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원과 시민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이번 참배에는 지역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산을 미래세대가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참배단은 10대의 버스를 나눠 타고 오전 7시 안성을 출발해, 오후 1시 봉하마을에서 공식 참배 일정을 진행했다. 헌화와 분향 등으로 진행된 참배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윤종군 국회의원은 방명록에 “네 번째 민주정부, 네 번째 민주당 대통령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을 자랑스럽게 보고드립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지난 14주기부터 매년 수백 명의 당원과 시민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올해는 대선 승리 후 찾아뵐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자리였다. 안성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바라는 시민들과 당원들의 열망을 다시금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참배를 마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