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무에 치명적인 조명나방 한 달 빨리 발생

경기도 농업기술원 방제 당부

가뭄과 고온 기상으로 이른 발생, 방제소홀시 50% 수량 감소

율무 잎마름병과 동시방제하면 효과적

 율무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조명나방이 예년보다 1개월가량 빨리 발생해 농가의 주의가 요구된다.

 713일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 조사에 따르면 현재 율무 주산지인 연천 지역에서 조명나방 유충이 알에서 부화하는 단계이다.

 조명나방은 6월 중하순에는 잎에만 피해를 주어 피해가 비교적 크지 않지만, 7월 중하순과 8월 중순에는 애벌레가 줄기나 마디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줄기 속을 상하게 만들어 방제가 어렵고 피해도 크다.

 도 농기원은 조명나방 유충 초기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비바람이나 강풍이 불면 줄기가 부러지는 피해까지 발생해 수확량이 50% 이상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도 농기원은 올해는 강수량이 적고 온도가 높아 평년보다 일찍 피해 발생이 예상되므로 철저한 사전 조사를 통한 방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7월 중하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8월 중순부터 급격히 퍼져 큰 피해를 주는 율무 잎마름병도 조명나방과 함께 방제하면 더욱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구체적인 방제법은 율무 조명나방 약제로 람다사이할로트린 유제(1,000배액)나 클로르피리포스 수화제(1,000배액), 잎마름병 약제로 디페나코나졸유제(2,000배액)나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액제(1,000배액), 또는 이프로수화제(1,000배액)를 혼용하여 7월 하순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충분히 약액이 묻을 정도로 율무에 살포하면 된다.

 임재욱 도 농기원장은 올해는 가뭄으로 율무 싹 틔우기가 어려웠고, 싹이 난 것도 초기 생육이 제대로 안 돼 율무밭을 갈아엎는 등 많은 농가가 어려움을 겪었다.”라며 해충들도 예년에 비해 기승을 부리고 있으니 해충방제에 유의해야 정상적인 소출을 얻을 수 있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항당뇨와 항산화작용 효과가 있는 율무는 경기도 대표 특용작물로 전국 재배면적(616)67%414ha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