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 몽골 방문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위해

715일부터 24일간 몽골 울란바토르 방문

몽골 정치, 경제 중심지 울란바토르시와 우호협약 맺고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스마트 교실 등 경기도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현장 방문

정부 주최 유라시아 친선특급공식행사 참석

사절단 교류행사, 이태준 선생 기념공원 개보수사업 착공식 등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한-몽골 수교 25주년을 맞아 몽골과의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715일부터 18일까지 24일 간 몽골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방문한다남 지사의 몽골 방문은 이번이 처음으로, 몽골은 지난 1990년 한국과 수교한 이래 25년 간 우호관계를 이어오면서 실질적 협력관계로 발전 중인 나라이다.

 경기도는 2004년부터 11년 간 꾸준히 마을 공동우물 조성 등 몽골 새마을 국제협력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경기도 시범농장마을 조성 사업, 희망도서관 건립사업, 몽골 공무원 정책 연수, 스마트교실 구축사업 등 다양한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를 이어오고 있다.

 남 지사는 이번 방문을 통해 몽골의 정치, 문화, 경제 중심지인 울란바토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나아가 도의 첨단 기술 인프라와 몽골이 보유한 풍부한 자원의 융합을 통해 일자리 창출 등 양국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남 지사는 716일 오전 울란바토르 시청에서 에르덴 바투울(Erdene BAT-UUL) 울란바토르 시장과 만나 양 지역 간 우호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협약문에는 경제분야를 비롯해 의료, 보건, 관광, 과학기술, 문화예술 등 다방면에 걸쳐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을 방침이다.

 이날 남 지사는 울란바토를 센트럴타워에서 뱜바초크트(S.Byambatsogt) 몽골-한국 의원 친선협회장과 오찬 회동을 갖고 경기도 차원의 지방외교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지난 1990년 창설된 몽-한 의원 친선협회는 몽골 국회 내 친선협회 가운데 가장 많은 회원(76명 중 49)이 가입한 협회로 양국 국회의원 간 교류를 주도하고 있다.

 경기도가 몽골에서 추진 중인 ODA현장과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민관협력사업 현장도 방문한다.

7월 16일에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굿네이버스, 몽골 사회적기업인 굿셰어링이 추진하고 있는 몽골 저소득층 난방효율 개선 사업 현장을 방문한다. 이 사업은 몽골 이동식집인 게르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52천 가구를 대상으로 축열기를 보급해 난방효율을 높이고, 석탄소비량을 줄여 대기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7월 17일에는 울란바토르시 칭길테구 스마트 교실준공식 현장을 찾는다. 스마트 교실은 몽골 내 한국어교육 확대를 위해 전자칠판, 태블릿 PC, 무선네트워크 등 디지털 수업 기반과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경기도가 지난해부터 몽골에서 추진 ODA 사업 중 하나이다.

 한편, 남 지사는 이번 방문 기간 동안 외교부가 주최하는 유라시아 친선특급공식행사에도 참석한다. 유라시아 친선특급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13년 국정 핵심과제로 제시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실현하기 위한 대표 사업이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유라시아 대륙을 하나의 경제 공동체로 묶고 북한에 대한 개방을 유도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는 방안을 말한다.

 유라시아 친선특급은 714일부터 82일까지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중국 횡단 철도, 유럽철도를 이용해 서울을 출발해 몽골, 중국, 러시아를 거쳐 독일 베를린까지 약 11km를 이동한다. 대장정에는 정·재계와 문화 예술계 등 각계 인사와 공모를 통해 선발된 일반 국민 등 모두 400여 명이 탑승하며, 각 거점 도시의 축제, 세미나, 콘서트, 기념식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친선외교를 벌인다.

 남 지사가 717일 참석 예정인 스마트교실 준공식은 유라시아 친선특급 몽골 지역 공식행사 중 하나이다. 유라시안 친선특급 사절단은 이밖에도 몽골 초원에서 몽골 전통문화를 체험하며 우의를 다지고, 일제강점기 몽골에서 독립운동을 펼치며 몽골인들에게 인술을 베푼 이태준 선생 기념공원 개보수사업 착공식 등에 참여할 예정이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