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이달의 베스트 직업상담사 선정

용인일자리센터 이범준 직업상담사, 구리일자리센터 신은주 직업상담사

일자리센터 활성화, 취업률 제고 및 취약계층 일자리 알선에 탁월한 공적이 있는

직업상담사 매월 2명씩 선정 표창

부상품으로 인증패와 배지 제작 제공

이범준 직업상담사

신은주 직업상담사

 경기도는 공적이 탁월한 상담사를 매월 2명씩 선정해 도지사 표창을 수여한다고 712일 밝혔다. 이에 도는 이달의 베스트 직업상담사로 용인 일자리센터의 이범준(50)씨와 구리 일자리센터의 신은주(42)씨를 선정했다.

 ‘이달의 베스트 직업상담사 선정은 그간 경제침체에 따른 구인구직난 속에서도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 직업상담사들의 사기진작과 자부심고취를 위해 경기도가 야심차게 시작한 시책사업이다.

 직업상담사는 취업을 희망하는 지역주민들에게 다양한 취업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우수 일자리 발굴과 일자리 알선을 맡고 있으며, 현재 도내에는 591여명의 상담사가 배치되어 있다.

 도는 각 시군에서 우수한 직업상담사를 추천받은 후 공적을 경기도 공적심사위원회의 공정하고 엄격한 심사를 통해 매월 2명의 상담사를 선발할 계획이다. 심사기준은 일자리 활성화, 취업률 제고, 취약계층 일자리 알선 등이다.

 이번에 선정된 이범준 직업상담사는 경력단절여성, 결혼이민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취업을 돕고자 구인기업을 직접 방문하는 동행면접을 실시해 30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또한 구인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위해 교육장을 면접장으로 제공, 상설면접을 총 20회 실시해 면접자 197명 중 120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이외에도 각종채용박람회 성공적 운영 통한 구인구직 미스매치 해소, 기업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통한 청년 구직자 취업 지원, 특성화고 학생 및 대학생 대상 찾아가는 맞춤형 취업특강 실시, 4050 원스톱 전담 창구 운영 통한 중장년층 일자리 상담 등을 우수하게 수행해 5월말 기준 용인 일자리센터 취업률 66.7% 달성에 기여했다.

 신은주 직업상담사는 전 계층에 대한 맞춤형 취업교육을 통해 개별상담, 직업지도, 취업알선 서비스에 탁월한 역할을 했다. 그 결과 구리시의 2014년도 고용률 61.5%달성에 큰 기여를 했다. 이는 전년도 57.6% 대비 3.9%가 상승한 수치다. 또한 포화된 구인시장 해소와 고용촉진일 위해 구리의 인접지역인 남양주시·광진구·중랑구를 비롯한 홍천군·춘천시까지 구인처를 확대했다. 이외에도 각종 취업박람회의 성공적 운영, 계층별 맞춤 교육프로그램 운영, 취약계층 취업지원 등에서 탁월한 업무수행 능력을 보여주었다.

 박덕진 경기일자리센터장은 베스트 직업상담사 선정을 통해 직업상담사의 사기진작은 물론 일자리 활성화까지 도모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우수사례 전파를 통해 일자리센터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일자리 활성화의 박차를 가하기 위해 오는 연말에 베스트 직업상담사 사례를 포함한 도내 직업상담사들의 각종 성공사례를 엮은 우수사례집을 발간해 각 시군에 배포할 계획이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