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조사하고, EM흙공 뿌리고 특별한 환경교육 마련

환경의 소중함 느낄 수 있도록 도와

보건환경연구원, 7월 25일 기흥저수지에서 도민 대상 환경체험교육 추진

현장 수질조사 체험, 수서 생태 교육, 환경정화활동 등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수질조사, 환경정화활동에 동참하며 환경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현장체험행사를 마련했다.

 연구원은 725() 오전 용인 기흥저수지 조정경기장 주변에서 도민과 함께 하는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날 행사는 연구원 소속 수질환경 전문가 10여 명과 시민환경활동단체인 푸른동탄 가족봉사단이 진행하며, 오산 지역 초등학생과 중학생, 학부모 등 100여 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수질측정장비를 이용해 기흥저수지의 투명도와 물속의 산소, 녹조 등 수질을 조사하고 수질오염에 대해 토의하는 체험학습에 참여한다. 또 녹조류로 만든 물고기사료를 먹이로 주고, EM흙공(유효미생물 발효액과 황토를 공 모양으로 뭉친 수질정화용 흙공) 500개를 기흥저수지에 뿌리는 수질정화활동도 벌였다.

 이정복 원장은 환경체험교육은 어릴 때부터 환경보전에 대한 시민의식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교육방법.”이라며 앞으로 환경체험교육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