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官이 손을 잡고 대성동마을의 미래를 설계하다

7.23일 대성동마을에서 관계기관 협약식 개최, 마스터플랜 발표

한국해비타트, LH, 새마을금고, KT, KT&G, 네이버, 청호나이스 등 참여

국민성금 모금캠페인 시작, 협약식에 맞춰 기가 사랑방개관

  DMZ 대성동마을을 재생하기 위하여 마을주민, 정부와 기업, 국민이 함께 손을 맞잡기로 했다. 35년간 개발이 멈춰버린 대성동 마을을 새롭게 단장하기로 뜻을 모으고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7.23() 14시 대성동마을에서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통일맞이 첫마을대성동 프로젝트 관계기관 협약식이 개최되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행자부장관을 비롯해 이원종 지역발전위 위원장, 김희겸 경기도행정2부지사, 이재홍 파주시장 등 정부관계자와 한국해비타트, LH새마을금고중앙회장, 청호나이스, KT, KT&G, 네이버 등 7개 기업 관계자, 대성동마을 김동구 이장, 등이 참석하였다.

 이번 협약식은 정부기관과 기업들이 대성동마을에서 협약을 체결한 첫 번째 사례이며,80년 대성동 종합개발계획이후 35년만에 체계적인 마을 발전계획이 추진되는 것이다.

 대성동 프로젝트 자문위원장인 정진국 교수(한양대학교, 건축학부)는 이날 협약식에서 대성동마을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정 교수는 미화나 치장보다는 삶의 터전으로서 마을의 자연성을 회복하는 것과 더 이상 육지속의 고립된 섬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김희겸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이 자리에서 분단 70년이 되는 해에 민관이 함께 대성동 마을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된 것을 뜻 깊게 생각한다.”, “경기도는 협약기관과 함께 대성동마을을 적극 지원하고, DMZ일원의 조화로운 보전과 합리적인 개발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통일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협약식이 끝남과 동시에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되는데, 공회당을 리모델링하는 마을기록전시관이 금년 개관될 예정으로 현재, 국가기록원과 파주시에서 관련 기록들을 발굴·확보하고 있다.

 세대당 5천만원(자부담 1천만원 포함) 범위내에서 지원하는 노후주택보수, ·하수도와 같은 기반시설 정비와 마을 경관개선 등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2~3년간 추진될 예정이다. 이 중 기반시설 등은 행자부, 지역발전위원회 등 중앙부처와 경기도, 파주시 등 지자체에서 지원하고 주택보수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지자체 예산 및 자부담을 원칙으로 하되, 전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차원에서 기업의 후원과 국민의 성금을 모금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에는 민간기업, 공기업, NGO단체 등 총 7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우선, 한국해비타트에서 국민성금 모금을 주관하기로 하고 어제(7.23)부터 모금 캠페인을 시작하였다. 한국해바타트 홈페이지(www.habitat.or.kr)에 접속하면 대성동마을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와 함께 노후주택에 필요한 비용을 기부할 수 있다. 성금 이외에 재능기부, 현물기부 등을 원하는 국민들은 지엠지기(www.dmz.go.kr)를 접속하면 된다. 또한, 국내 최대 포탈사이트인 네이버에서 모금 캠페인을 적극 홍보하기로 하였다. 네이버 해피빈에서도 7.23일부터 모금활동을 병행하고 있으며, 네이버에 대성동 또는 대성동마을 등을 검색하면 대성동과 모금캠페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LH와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는 노후주택보수 자금을 지원하고, KT&G에서는 노후주택 창호교체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청호나이스는 자사에서 생산하는 생활편익시설(비데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KT에서는 기존 마을회관을 리모델링하여 ICT기반의 최첨단 기가(giga) 사랑방을 구축하고, 협약식 일정에 맞춰 어제(7.23) 개관식을 가졌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출입관리와 주민간의 의사소통은 물론, 마을과 외부인과의 신속한 연락체계도 갖추게 되었다. 이는 민관협력을 통해 추진되는 대성동 프로젝트의 가시적인 첫 번째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기가마을회관: GiGA 네트워크, 출입관리자동화시스템, 재난대응 화상회의시스템 등

 한편,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대성동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교육 재능기부·멘토링지원사업도 추진된다. KT에서 대성동초 학생들의 꿈과 희망에 따라 맞춤형 멘토링프로그램을 지원하는멘토링사업을 기 추진하고 있는데 경기도(따복마을추진단) 중심으로 KB금융공익재단, D-Korea(독일 s/w 업체 SAP의 공익재단), 염은희부모교육연구소 등 사회공헌 기업과 사물놀이 김덕수 교수 등 저명인사도 참여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멘토링 교육을 지원할 예정이다.

 첫 번째 시간으로 SAP의 이상민 상무 등 전문 강사진이 대성동초등학교를 방문하여 Design Thinking으로 창의인재 되기라는 주제로 재능기부 강연을 진행하였다. 최근에 대성동마을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도 생겼다.

 얼마전, 1953년 마을이 생긴 이래 그 유례없는 가뭄으로 모내기를 못해 큰 곤란을 겪은 바 있었다. 농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는 주민들은 모내기를 못할 경우 생계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농식품부, 국민안전처, 경기도와 파주시에 임시 농수로를 지원하여 모내기를 무사히 마칠수 있었으며, 행자부에서는 내년부터 임진강으로부터 농업용수를 끌어올 수 있는 항구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대성동마을 김동구 이장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기관에 주민들을 대표해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 우리 주민들도 힘을 모아 프로젝트가 잘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