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 질병진단 서비스

상반기 620건 실시

339, 돼지 33, 가금 200, 기타 48

진단된 법정 가축전염병 : 소 기종저 등 10

향후 정확한 규명과 신속한 방역조치, 지속적 질병 모니터링 통해 축산농가 피해 최소화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올해 상반기 실시한 동물 병성감정 의뢰 건수가 620건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병성감정이란 일종의 질병진단 서비스로, 가축의 발병 원인을 밝혀내고 신속한 방역조치를 통해 축산 농가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역지원 업무를 말한다.

 2015년 상반기 병성감정 의뢰실적 총 620건 중 축종별로는 소 339(54.7%), 돼지 33(5.3%), 가금 200(32.3%), 기타동물(·고양이·꿀벌) 48(7.7%)로 나타났다. 진단된 법정 가축전염병은 소 기종저,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돼지단독, 가금티푸스, 추백리, 낭충봉아부패병, 꿀벌부저병 등 총 10종이다.

 축종별 검진된 질병현황을 살펴보면, 우선 소는 바이러스성 설사병(로타바이러스병, BVD) 및 대장균감염증, 식이성 원인에 의한 회백뇌연화증, 장독혈증, 보틀리즘 등이 주로 진단됐다. 이중 바이러스성 설사병이 22건으로 제일 많았다.

 돼지는 올해 상반기 돼지유행성설사병이 9건이 검진돼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유행성설사병은 자돈폐사 및 설사 등으로 인해 양돈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외에도 돼지단독이 확인됐다.

 닭의 경우 어린 병아리에 큰 피해를 주는 난계대전염병인 가금티푸스, 추백리 등이 주로 발생됐다. 가금티푸스의 경우 7건이 진단됐으며, 이외에도 대장균감염증, 난황낭감염 등이 진단됐다. 지난해 육계에서 14건이나 발견됐던 전염성기관지염은 올해 1건으로 감소했다. 이외에도 토종벌을 중심으로 낭충봉아부패병과 부저병이, 기타축종에서는 개부르셀라병이나 파보바이러스병이 진단된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소는 그간 구제역·AI 등에 가축질병에 대한 사전 예찰검사나 결핵병·부르셀라병 등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의 정기검진 등을 실시했다. 향후에도 병성감정을 통해 질병을 정확히 규명해 내고 신속한 방역조치와 지속적인 질병 모니터링 등 최상의 서비스를 통해 축산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임병규 도 축산위생연구소장은 앞으로 구제역 , AI는 물론 일반 가축질병에 대하여도 사전예방을 위한 정밀진단 업무에 최선을 다 할 것이라며, “특히 진단결과에 따라 농장별 맞춤형 진료서비스를 강화해 나갈 계획인 만큼, 농가에서는 축거나 의심축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신고 및 검사의뢰를 당부 드린다.”고 밝혔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