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개성공단, 대한민국 먹여 살릴 큰 아들로 키워야”

경기도, 17일 고양 킨텍스에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제품 전시·판매관 개관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개성공단 지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남 지사는 17일 오전 11시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개성공단 평화누리 명품관 개관식에 참석해 개성공단은 남북경협의 상징이자 이념과 체제를 넘어선 옥동자라면서, “앞으로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큰 아들로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개관식에는 홍용표 통일부장관, 경기도의회 강득구 의장, 이동화 경제과학기술위원장, 홍범표 안전행정위원장, 최성 고양시장, 김남식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이사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이날 남 지사는 참석자들에게 어제 수원에 중국 관광객 유커들이 삼천 명이나 방문했는데, 이를 보니 앞으로 한중간의 국가협력이 통일은 물론 한국제품의 중국 진출에 크게 기여할 것 같다.”면서, “이와 같은 상황이 개성공단은 물론 대한민국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남 지사는 현재 개성공단 물류단지 조성을 위해 용역을 진행 중에 있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이는데, 앞으로 통일부에서도 남북협력과 개성공단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을 보여 달라.”고 덧붙였다.

 개관식에 참석한 홍용표 통일부장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개성공단은 정부와 기업, 경기도가 함께 이끌어온 거버넌스 즉, 상호협력의 좋은 예라면서, “앞으로 개성공단의 근로환경 개선을 비롯해 여러 가지 사항들을 발전, 보완시켜서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홍 장관은 이어서 개성공단이 남북관계의 시금석이라면 평화누리 명품관은 대한민국 수출의 대표적 시금석이 될 것이라며, “정부차원에서도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제품들이 국내외로 널리 알려지고 판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문을 연 개성공단 평화누리 명품관은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 대부분이 인지도가 낮은 OEM(주문자제작방식)업체인 점을 감안, 경기도가 입주기업 이 생산한 제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판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설치한 상설전시관이다. 총 면적 330.5의 전시관에는 22개 기업이 입점해 잡화, 남녀의류, 아웃도어 등 18개 품목을 전시·판매한다. 이외에도 회의실, 창고 등 비즈니스 공간도 확보돼 입주기업들의 본격적인 판로개척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전시관 설치는 지난해 12월 남경필 지사 주재로 열린 개성공단 입주기업 간담회가 계기가 됐다. 간담회 당시 입주기업인들은 남 지사에게 킨텍스 내에 개성공단 생산품을 전시·판매 할 수 있는 상설전시관을 설치해 달라 건의했었다. 또한, 입주기업인들은 남북관계 경색으로 개성공단에서 물건을 제작할 수 없을 경우에도 기존 물량으로 주문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물류단지 조성도 건의한 바 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