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고령농가 증가, 지원체계 필요”

70세 이상 고령층의 최저생계비 이하 가구 비율 28.6%

 2000~2014년 동안 전국 농가는 19.2% 감소하고 농가인구는 3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는 1,383,468 가구에서 1,120,776 가구로, 농가인구는 4,031,065명에서 2,751,792명으로 감소했다. 동일시기 경기도 농가와 농가인구는 각각 12.5%, 27.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연구원은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이와 같이 밝히고 <고령농가 소득안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농림어업조사통계에 따르면 전국 농가의 고령층(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0021.7%에서 201439.1%로 상승하여 빠른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동일시기 경기도 농가의 고령층 인구 비율도 17.0%에서 32.3%로 상승했다.

 고령농가의 소득은 중장년농가(65세 미만) 소득의 53.5%에 불과하여 소득수준이 낮은 상황이다. 2014년 기준 전국 고령농가의 평균소득은 2,597만 원으로, 65세 미만 농가소득 4,853만 원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 고령농가 소득은 2,806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는 다소 높다.

 고령농가에서 영세농가(경지면적 0.5ha 미만)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445.7%, 빈곤가구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가구가 70대 이상 고령층에서 28.6%로 높았으며, 경기도의 경우는 20.5%로 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김정훈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실제적인 고령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해서는 고령농가의 특성을 고려한 다층적 지원체계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면서, 고령농가 소득안정을 위한 방안을 제안했다.

 우선, 고령농가를 위한 소득안정정책 간 상호연계성을 높이고 일관된 통합관리체계로 정비해야 한다. 고령농가의 안정적인 소득확충은 농가 특성을 고려하여 자산기반 및 노동기반의 두 축으로 진행하고, 현재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자산기반 소득안정정책 간 연계성을 높이고 일관된 통합관리체계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농지연금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가입 및 승계조건을 완화하고 연금수령 방식을 다양화하며, 경영이양직접지불제를 농지연금과 연계하는 등 자산기반 소득안정정책의 유연성을 강화하자는 내용이다.

 건강을 유지하는 한 은퇴하지 않겠다는 농어업인 비율이 65.1%에 달한다는 결과(2014년 농촌진흥청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고령농업인의 근로의지는 강한 편이다. 고령농업인이 생산한 고품종 친환경 농산물과 가공농산품에 대한 품질인증제를 도입하고 도시지역과의 직거래 등 판로 확보를 지원하는 대안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대목이다.

 김 연구위원은 끝으로 경기도 내 고령농업인에 대한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소득안정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영세농민들의 경우 경기도 고령농업인 지원 조례에 근거하여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