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지침을 이유로 요양병원 개설 제한한 것은 위법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 18일 제12회 행정심판위원회 개최

 의료법인의 요양병원 개설허가신청에 대해 종합병원만 개설을 허용하도록 한 내부지침을 적용해 허가를 내주지 않은 것은 위법하다는 경기도 행정심판위원회 재결이 나왔다.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는 18일 제12회 행정심판위원회를 열고 121D의료법인이 A시를 상대로 낸 의료기관 개설허가신청 불허가처분 취소청구사건(2016 경기행심 118)’에 대해 A시의 불허가결정이 위법하다며 D 법인의 손을 들어줬다.

 A시는 D의료법인이 A시에 요양병원을 개설하기 위해 의료기관 개설허가신청을 하자, A시에서 마련한 의료법인 설립 및 운영지침상 의료법인은 종합병원만 개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이유로 불허가처분을 했었다.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 관계자는 의료법에는 의료법인이 시설기준을 준수해 의료기관 개설허가신청을 하면 허가를 하도록 강제하고 있다.”면서 의료법상 시설기준을 준수한 의료기관 개설신청을 법에 없는 지침을 근거로 제한할 수 없다. 게다가 D법인은 A시로부터 개발행위허가와 건축허가까지 받아 이미 건물이 완공단계여서 손해가 막대한 상태라고 재결 배경을 설명했다.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는 또 B회사가 C시를 상대로 신청한 자동차관리사업 신규등록 불허가처분 취소청구 사건에서도 C시의 불허가처분이 위법하다고 결정했다.

 B회사는 20151230C시에 전문정비업 신규등록신청을 했지만 C시는 환경오염과 교통사고 우려를 이유로 인근 주민의 민원이 제기돼 있다며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B회사는 단순히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등록을 거부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는 B회사가 영업 하려는 곳이 아파트 단지가 있는 주거지역이므로 C시는 전문정비업 신규 등록 여부를 결정할 때 인근 주민의 환경오염이나 교통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허가를 결정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검토 없이 민원을 이유로 등록을 거부하여서는 안 된다고 판단했다.

 한편,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는 이날 68건을 심의했으며 인용 30(일부인용 포함), 기각 28, 각하·연기 8건을 재결했다.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는 도민의 권익구제 차원에서 서민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생계형 사건의 경우 30건 중 18건이 인용됐다고 밝혔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