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복완 부지사

금광저수지 신재생에너지 시설 현장 방문

 양복완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21일 오전 1030분부터 안성시 금광면 오홍리 소재 금광저수지 수상회전식 태양광발전소를 방문, 경기도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긍정적인 롤모델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양복완 부지사의 이번 현장방문은 경기도 에너지 비전 2030’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도내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둘러보고, 벤치마킹할 수 있는 부분을 찾고자 마련됐다. ‘에너지 비전 2030’에는 도내 전력자립도를 70%까지 끌어올리는 한편, 전체 전력생산량의 6.5%에 불과한 현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날 양 부지사가 찾은 금광저수지 수상회전식 태양광발전소는 저수지의 수면을 활용해 태양의 위치를 따라 회전하면서 발전효율을 높이는 방식을 취한 신재생에너지시설로, 한국농어촌공사 안성지사와 솔키스가 전 세계 최초로 도입·상용화한 것이다.

 이 발전시설은 친환경 부력재에 300W 용량의 태양전지 모듈 약 1,550(465kW)을 설치, 물의 부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수지 본래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수온이 태양광 모듈의 온도를 낮춰 육상의 태양광 설비보다 발전효율이 높다는 것과 수위 변화와 기상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 하다.

 양복완 부지사는 이날 현장방문을 마치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투자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면서, “경기도에서도 에너지비전 2030에 맞춰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사업들을 모색·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올해 총 21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 ‘2016년도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