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정유년 붉은 닭의 해

희망을 여는 풍요와 배려, 덕행의 나날이 되길

 정유년(丁酉年)은 붉은 색을 의미하는 과 십이간지 중 닭을 뜻하는 붉은 닭의 해를 뜻한다.

 예로부터 닭은 많은 알을 품기 때문에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고, 또한 덕을 갖춘 새로 표현되어 왔는데 한시외전(韓時外傳)에 따르면 머리에 관을 쓴 것은 문()이며, 발에 갈퀴를 가진 것은 무(), 적에 맞서서 감투하는 것은 용()이며, 먹을 것을 보고 서로 부르는 것은 인(), 밤을 지켜 때를 잃지 않고 알리는 것은 신()이다.” 라며 닭의 오덕(五德)을 설명하기도 했다.

 특히 닭의 울음소리는 어둠 속에서 도래할 빛의 출연을 알리며 만물과 영혼을 깨우는 희망과 개벽을 상징하기도 한다.

닭은 가장 많이 사육되는 가금(家禽집에서 기르는 날짐승)이다. 한자어로는 보통 계(, 또는 )가 쓰였고 촉야(燭夜벽치(䴙鴟추후자(秋候子대관랑(戴冠郎)이라고도 하였다.

 닭은 꿩과에 딸린 새로 역사도 길어 약 3,000~4,000년 전에 인도 · 말레이시아 · 미얀마 등지에서 기르기 시작하였다. 닭의 조상은 붉은멧닭 · 회색멧닭 · 실론멧닭 따위라고 알려졌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닭은 인도 · 미얀마 · 말레이시아의 숲에 사는 멧닭을 길들인 것이다.

 닭의 생김새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부리가 짧고 튼튼하며 몸보다 날개가 짧아 잘 날지 못하나 다리가 굵어 빨리 달릴 수 있다. 발가락은 네 개인데 세 개는 앞으로, 한 개는 뒤로 나 있다. 수탉은 며느리발톱이 발달했다. 머리의 볏은 품종에 따라 홑볏 · 장미볏 · 호두볏 · 털볏 따위로, 특징이 있다. 수탉은 암탉보다 볏과 턱살이 더 크고 꽁지도 더 길다.

 달걀을 얻기 위해 기르는 난용종, 고기를 얻기 위해 기르는 육용종, 이 둘을 다 얻기 위해 기르는 난육 겸용종으로 크게 나뉜다.

 조류인플루엔자로 닭들이 큰 수난을 겪고 있고, 어느 정치인이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이 온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는데 올 정유년부터는 닭의 목을 비틀지 않고도 희망을 여는 풍요와 배려, 덕행의 나날이 되길 소망해 본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