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시<< 산딸나무 하얀 –그녀,

시인 김현신

산딸나무 하얀 그녀,

 

시인 김현신

 

하얀 이 있었다, 깃털 몇 개 떨구고 간

그녀 - 아직 무녀인 듯, 춤추고 있구나

가사 장삼 끝자락 인 듯, 흐느끼고 있구나

 

산딸나무, 그녀 - 들판으로 하얗고

산딸나무, 나는 - 언덕으로 하얗고

 

꽃말 남기고 간 십자가 기도일까

꽃잎 흔들리는 행간은 눈이 내릴까

 

그녀

 

풀밭을 불러볼까, 눈보라를 불러올까

 

펄럭이는, 숲 너머, 내 발은 흐를까, 가득한 발자국, 맨발, 남듯이, 그늘의 깊이를

안아 볼 수 있을까

 

마른 풀 이끼위에 하얀 손 쌓아놓고,

풀꽃을 두드리고

 

그녀 - 흐르고 있을까

그녀 - 아직 떨어지고 있을까

 

안락 베개를 베고 누운, 손목이 있었다 어깨, 몸통, ! 스폰지 같은 눈이 내리는구나,

그리고 살며시 누르는 , ,

 

- 그녀

 

아직 혀는 붉은가, 산딸나무 하얀 그녀가 오고, 산딸나무 하얀 그녀는 가고, 나를 부를까,

사라진 손톱 하나, 저 소리 들릴까

 

산딸나무 하얀 - 그녀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