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연구 공동실천으로 성장하는 경기교육

전문적 학습공동체, 경기도 초·중·고 2,288교(96.7%) 참여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지난 25일 경기도내 초·중·고교 중 96.7%인 2,288교가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공동연구와 공동실천으로 학교역량 강화 및 학생중심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참여 학교는 전년 대비 9.2% 증가했으며, 교원 78,785명이 참여하고 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공동체 학습을 통한 동반 성장과 학교 혁신 일반화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운영 유형에 따라 학교 안, 학교 간, 학교 밖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는 2015년부터 학점화 정책을 전면 도입하여 학년, 교과 단위로 학습공동체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수업 개선, 학교생활, 진로교육, 학교혁신 등 현장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실행 과제를 공동 연구하고 공동 실천하면서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 조직 및 학교문화 개선을 선도하고 있다.

 학교 간 전문적학습공동체는 학교 개선 사례를 공유하고 협력적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으며, 작년부터 253개 지구단위 학교장 장학협의회, 교감 협력 장학, 혁신학교 네트워크 등을 구축하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학교 밖 전문적학습공동체는 토요연수 및 방학연수 연수 프로그램 개발, 현장 정책 제안, 학교 실천 프로그램 개발 등을 담당하고 있으며, 345개의 도 단위 및 지역 단위 교육연구회가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학교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는 작년 하반기 만족도 조사에서는 교실 수업 개선 만족도는 87.2%, 정책만족도는 89.6%로 나타났으며, 학교 혁신을 견인하는 주요 정책으로 전국적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안경애 학교정책과장은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해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경기교육을 만들어 가고 있다.”면서, “개방과 협력의 학습공동체가 교육의 공동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며 새로운 미래교육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 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