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소방서 기고문>119 안전셰프의 K급 소화기 추천

소방특별조사팀 소방사 박형준

119 안전셰프의 K급 소화기 추천

 

안성소방서 재난예방과

소방특별조사팀 소방사 박형준


 사회적 트렌드란 이름으로 집밥이다 혼밥이다와 함께 먹방, 쿡방이란 단어가 자연스러운 게 세상인 듯하고 또한 이런저런 사정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불을 다루는 주방이란 공간이 친숙해지고 요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커진 사회분위기인 것이 또한 현실이다.

 이런 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라 살펴보면 2015년부터 20186월말까지 일반음식점 등 다중이용업소 화재 발생 소방청 자료에 의거 최근 3년간 839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다시 살펴보면 다중이용업소 주방화재는 지역별로 서울은 201551건에서 201684건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고 부산(1217), 대구(413), 인천(34), 경기(2738) 등의 각각증가 추세를 보였다. 미뤄 볼 때 식용유 등 특수한 유류 화재에 특화된 주방용 소화기 설치와 점검 확인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짐작된다.

 소방청은 지난해인 20176월부터 신설되는 음식점 등 다중이용업소 주방에 K급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했다. 하지만 K급 소화기의 경우 소방시설 착공신고와 완공검사신청 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설치 현황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으며,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 개정이전에 문을 연 전국 음식점 등 다중이용업소 633961(2015년 기준)은 설치 의무가 없어 실질적 점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급 소화기 설치 관련법이 개정될 당시 음식점별 유류 하루 사용량이 달라 모든 음식점에 설치하는 것은 과한 규제에 해당한다고 판단했고 기준 적용도 보류 했다. 그러나 K급 소화기 단가가 낮아진 만큼 모든 음식점에 이를 설치해 초기 화재 진압해야 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최근 제기되고 있다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용유는 끓는점이 발화점(불이 붙는 온도)보다 높아 불꽃을 제거하더라도 다시 불이 붙을 수 있고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 경우 뿌려진 물이 가열된 기름에 기화되면서 유증기와 섞여 오히려 화재를 키울 우려가 상존한다

 ‘K급 소화기는 식용유 화재 발생 시 적응성을 가진 소화기로 지난해 411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개정에 따라 음식점, 다중이용업소 등의 주방 25미만에는 K급 소화기 1, 25이상인 곳에는 K급 소화기 1대와 25마다 분말소화기를 추가로 비치해야 한다.

 기존 분말소화기로 식용유 화재의 불꽃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다시 재 발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별히 식용유를 많이 사용하는 음식점 주방에서는 119안전세프의 K급 소화기 비치 추천으로 화재 위험에 사전 대비해 주시길 간곡히 당부 드린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안성시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호평 일색‥“올해는 이렇게 즐기세요!”
가을 축제의 대명사,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가 지난 9일 개막식을 진행한 가운데 한층 성숙해진 모습으로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올해 바우덕이 축제는 웅장한 메인게이트를 시작으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부스와 프로그램이 펼쳐져 눈길을 끈다. 축제장 입구에 마련된 종합안내소를 통해 각종 문의가 가능하고, 걸음을 옮기면 왼편에 보이는 대형 바우덕이 캐릭터와 테마파크를 마주한다. 올해 새롭게 구성한 이곳은 남사당 6(여섯)마당을 직접 보고 즐길 수 있는 몰입형 전통 놀이 공간으로 꾸며졌다. 특히 누구나 실제 외줄 위에서 어름(줄타기) 체험이 가능하고, 전통 인형극을 직접 해보는 덜미(꼭두각시극), 풍물 원데이 클래스, 바우덕이 페이스 페인팅, 덧뵈기 가면 만들기 등 가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수원에서 방문한 김모(40대·남)씨는 “매년 가을이면 바우덕이 축제를 빠지지 않고 찾아왔는데, 올해는 이전보다 공간구성이 잘 되어있어 이동하기에 편하고, 무엇보다 다채로운 체험이 있어 아이들이 좋아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미있는 추억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바우덕이 테마파크를 체험했다면, 조선시대 3대 시장 중 하나였던 안성 옛장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