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학생 수 감소에 따라 학교 통폐합 등 교육환경 재구조에 박차를 가하면서 소규모 학교가 많은 안성시 관내 학교는 어떻게 될까? 지역과 학무보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도내 학령인구(6∼21세)는 2007년 244만6천여 명에서 2017년 222만3천여 명으로 22만3천여 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한 학령인구 수는 이천시 21만4천여 명, 양주시 21만6천여 명, 하남시 25만1천여 명 등 도내 지자체 인구수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학생 수 감소가 계속 이어져 2040년에는 학령인구가 184만4천여 명으로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감소에 따라 학교별 정상적 학사 운영이 이뤄지지 않을 것을 우려, 2016년도부터 인근 지역 소규모 학교들을 통합해 적정규모학교로 육성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적정규모학교는 교육부 기준 학생 수가 초등학교 360명 이상 1천80명 이하, 중·고교 450명 이상 1천260명 이하, 학급수 18개 이상 36개 이하 규모의 학교다.
교육부는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교를 적정규모학교로 통폐합할 것을 권고하는데, 도내 대상 학교는 초등 166개교, 중등 57개교, 고등 11개교 총 234개교에 달한다.
도교육청은 학생과 학부모,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2016년 성남, 안양, 여주, 수원, 연천, 이천, 화성 등 7개 지역 10개교를, 2017년에는 4개 지역 6개교를 통폐합했으며 2021년까지 도내 14개교를 통폐합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폐합 유형은 분교장을 초등학교로 흡수, 인근 남학교와 여학교 남녀공학으로 개편, 구도심 지역 학교 인근 택지개발지구로 이전 등이 있다. 초·중 또는 초·중·고 형태로 학교를 하나로 묶는 통합운영학교도 추진되고 있다.
도교육청은 통폐합으로 통학 거리가 멀어진 학생들을 위해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등의 지원을 강화하고 통폐합하면서 남는 학교 건물을 교육 시설로 사용하거나 지역 주민들과 공유하는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7년 연천초등학교로 통폐합한 백록분교장은 학부모들의 의견을 수렴해 현재 드론, 3D 프린터 등 과학체험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국 최초로 초·중·고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매뉴얼을 제작 및 보급해 학교 현장의 고충을 최소화하고 있다.
오형균 도교육청 적정규모학교육성추진단장은 "적정규모학교 육성은 학생 수 감소라는 교육환경 변화에 발맞춰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도모하기 위한 작업"이라며 "학생과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는 현장 맞춤형 학교를 만들어가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