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

안정웅

안성시 약초연구회 (113)    

산약     

세계평화봉사단

안성시지회장 안정웅 

 산약의 다른 이름으로는 서여, 산우, 선서, 옥서, 서약 등 많다. 채취 시기는 가을보다 이른 봄 싹 나기 전에가 약효가 가장 좋다.

 이 약은 마과의 덩굴지는 여러해살이 풀인 마는 여러 해 묵은 뿌리이다.

 약리작용으로는 혈당강화, 조율성 회복, 소화촉진, 면역기능 항진, 항산화, 수명연장 작용을 하며, 치료에는 비위허약한데, 변이 묽을 때, 폐허, 해수, 천식 치료에도 사용되며, 유정, 정력 감퇴, 소변불금 치료에도 사용된다.

 당뇨병에도 유효하며, 소화, 설사 치료에도 유효하다. , 비장,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에게는 적합한 약이며, 정력을 증강 시키므로 비, 위장 허약하여 일어난 설사, 음식감소, 부종, 해수, 천식, 당뇨, 유정, 대하, 유뇨, 피부염 등에 적응한다.

 단방으로는 산약을 가루로 또는 죽을 쑤어 장기 복용하면 비, 위 등 좋아진다.

기력이 크게 떨어질 때 산약 20g, 황기 12g, 백출 10g, 인삼 8g, 복령 6g 복용한다. 음식소화가 안 되는 경우 산약 15g, 창출 12g, 신곡 8g, 맥아 8g, 산사8g 사용한다.

 설사, 물변일 때 산약 12g, 백작약 10g, 백출 10g, 복령 8g, 택사 8g 사용한다. 부인 대하증에는 황백 12g, 백과 12g, 차전자 12g, 산약 10g 사용한다.

 해수, 천식, 폐결핵에는 만삼 15g, 백합 12g, 신약 10g, 맥문동 10g, 백과 10g 사용한다. 신장허약으로 인한 해수에는 산약 12g, 숙지황 12g, 산수유 8g 사용한다. 신장기능 허약이나 성생활 과다로 인한 유정에는 산약 15 g, 파고지 12g, 토사자 12g, 산수유 8g 사용한다.

 하복부가 차고, 정력이 감퇴한 경우는 산약 15g, 익지인 9g, 오약 8g, 육계 8g, 부자 4g 사용한다. 당뇨에는 황기 15g, 산약 12g, 갈근 12g, 지모 12g, 천화분 12g, 현삼 10g, 단삼 10g, 산수유 8g, 오미자 6g 사용한다.

 신장기는 허약으로 인한 허리, 다리 무력감에는 계지 12 g, 두충 12g, 자오가 12g, 산약 10g 사용한다. 관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심한 흉통에는 숙지황 25g, 단삼 20g, 산약 15g, 산수유 12g, 구기자 12g, 복령 12g, 맥문동 12g, 적작약 10g, 목단피 10g, 인삼 4g, 오미자 4g 사용한다.

 재생불량성 빈혈에는 숙지황 24g, 만삼 15g, 산약 15g, 산수유 12g, 토사자 12g, 구기자 12g, 보골지 12g, 당귀 12g, 녹각교 10g, 육계 8g, 부자 6g, 백출 6g, 감초 2g을 전탕 후 12회 나누어 증상에 따라 가감한다.

 산약에 용량은 일반적으로 12~30g까지 사용하는데 경우에 따라 60g까지 가능하게 활용할 수 있으나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안성시의회, 일죽면 발전위원회와 간담회 가져
안성시의회(의장 안정열)가 1일 소통회의실에서 일죽면 발전위원회(위원장 문대식)와 간담회를 열고, 지역의 주요 관광자원인 흔들바위 및 죽산성지를 중심으로 한 관광 개발 방안, 도시공원 지정, 토지 수용 문제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그동안 주민들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관리와 개발이 부족했던 흔들바위를 중심으로 지역 관광 자원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발전위원회는 “흔들바위는 오랫동안 지역 주민들에게 상징적인 장소였지만, 명확한 관리 주체 없이 방치되어 왔다”며 “앞으로 지역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주민들이 처리하고, 행정적으로는 시의회의 협조를 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흔들바위 인근 현황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언급됐다. 발전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일부 지주 허락을 받아 죽은 나무와 잔가지 제거 작업을 시작했으나, 사유지가 많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한계가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 발전위원회는 흔들바위 일대를 공원용지로 지정 해줄 것을 요청했다. “공원용지로 지정되면 시 예산 투입이 가능해지고, 죽산성지와 연계한 관광지 및 쉼터 개발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죽산성지 명칭 변경과 안내 간판 설치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