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기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부위원장 주관

“축산정책발전, 우리의 방향은?” 토론회 개최
축산인들 큰 관심, 축산단지 조성 필요성도 제기

 경기도의회 백승기 농정해양위원회 부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축산정책발전, 우리의 방향은?’ 토론회가 2일 오후 2시에 죽산면 소재 동안성시민복지센터에서 축산 단체와 많은 축산인들이 큰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가운데 개최됐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공동주최한 ‘2021 경기도 상반기 정책토론 대축제’의 일환으로 이날 열린 토론회는 축산업의 기존 생산성 증대 방향의 사양에서 환경친화적 사육 기술 및 방향으로의 대전환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토론회에는 경기도의회 장현국 의장, 김인영 농정해양위원장, 양운석 의원, 윤종군 경기도 정무수석, 박만식 사회적협동조합지방자치연구자플랫폼 이사장이 참석했으며, 박근철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이 영상으로 축하 인사를 전했다.

 백승기 의원은 토론회에 앞서 “다가올 미래를 대비하는 축산정책의 방향은 매우 중요하다”며 “오늘 토론회를 통해 축산 낙농업의 가능성을 찾고 협력체계가 구축되어 사람, 가축, 환경이 조화되는 낙농 산업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는 김기일 고려비엔피 이사가 맡아 진행했다. 김기일 이사는 안성시 축산 정책과 주요 추진 사업에 관해 설명하고, 악취 등으로 인한 민원, 가축분의 처리 문제, 수동적 공감과 같은 축산 생산자들의 애로사항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토론자인 정지현 정훈농장 부장은 청년 축산인의 시선으로 본 축산업과 그 문제점으로 고령화된 농업사회, 축산악취 저감을 위한 투자 부담, 후계농업경영인 선정을 지적했다. 덧붙여, “축산업에 분명한 비전과 미래가 존재한다고 생각해 뛰어들었다”며 제한된 축산업 관련 정책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다며 발표를 마무리 지었다.

 두 번째 토론자인 홍성구 한경대학교 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기존 가축분뇨 퇴비화의 대안으로 바이오가스, 열화학적 공정 등의 자원화 기술을 소개하고, 바이오와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축산업을 위해 정부와 농가가 함께 관심을 갖고 수용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 토론자인 김영수 경기도 축산정책과 과장은 축산업 경영안전대책과 축산환경 개선 추진을 주제로 경기도가 가축분뇨 처리, 악취 저감 집중 지원 계획, 축산농가의 소득향상과 농촌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다짐했다.

 네 번째 토론자인 양재성 대한한돈협회 안성지부장은 축산업이 발달한 안성은 악취로 인한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며 그 해결방안으로 축산농가의 악취 문제에 대한 이해 당사자와 지역주민, 전문가, 학계, 행정가들이 모이는 적극적인 공론화장이 필요하고, 또한 축산산업단지 조성을 제안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코로나19 생활수칙에 따라 최소한의 관중 입장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경기도의회 유튜브 라이브방송을 통해 도민들과의 소통을 이어나갔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