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발병 3시간이 중요

신속히 적절한 처치를 받아야 회복

 뇌졸중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환자 4명 가운데 3명가량이 적정 치료 시간대를 놓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박익성 가톨릭대의대 부천성모병원 뇌졸중센터 교수팀은 지난해 116월 병원에 실려 온 뇌졸중 환자 174(84, 90)을 분석한 결과 74.1%129명이 발병 뒤 3시간을 넘어 병원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교수팀에 따르면 뇌세포는 몇 분만 혈액 공급이 끊겨도 손상되고 한번 죽으면 되살릴 수도 없다면서 뇌졸중이 생긴 뒤 늦어도 3시간 안에는 적절한 처치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의 25.9%(45)만이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해 골든타임을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골든타임은 의료진들이 3시간 안에 처치를 받는 것을 지칭하는 말이다.

 특징적인 점은 전체 뇌졸중 환자가 16.1%가 홀로 사는 환자였는데 이들은 뇌졸중이 발병한 뒤 골든타임 안에 병원을 찾는 비율은 10.7%에 불과했다.

 반면 가족과 함께 사는 환자의 경우 골든타임 안에 도착한 비율이 28.6%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부부가 함께 사는 환자는 29.6%3시간 안에 병원을 찾았다.

 또 홀로 사는 뇌졸중 환자의 경우 고혈압, 당뇨, 흡연, 심장질환 등 뇌졸중 위험인자들 가운데 2개 이상을 가진 비율이 50%로 나타나 가족과 함께 사는 환자의 33%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료진은 뇌졸중 환자들이 이처럼 골든타임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병원에 늦게 오는 이유로 질환에 대한 인식부족한데다 과로나 과음 뒤에 나타나는 신체증상과 잘 구분하지 못하는 점을 꼽았다.

 박 교수는 뇌졸중은 치료가 빠르면 빠를수록 사망률이 낮아지고 후유증도 적어지는 만큼 3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인층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뇌졸중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으로는 갑자기 벼락 치듯 심한 통증 심한 어지럼증 말을 잘 못하거나 발음이 불명확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 못함 팔다리가 마비되거나 감각의 이상 갑작스런 시야 장애 또는 시력 장애 의식 장애 등이다.


지역

더보기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