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군 국회의원이 국토교통부 종합감사에서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유일하게 철도가 없는 도시가 안성”이라며 “수도권 66개 시‧군‧구 중에서도 섬 지역인 강화‧옹진을 제외하면 안성이 유일하게 철도와 전철이 모두 없는 지역”이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안성시민이 철도를 얼마나 절실히 기다려 왔는지 알 수 있다”며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하 ‘5차 철도망)에 안성 철도사업을 반드시 반영할 것을 강하게 요구했다.
윤 의원은 우선 잠실‧안성‧청주공항을 잇는 광역급행철도, 이른바 ‘JTX’가 지난 8월 기획재정부의 KDI 민자적격성조사에 착수한 점을 환영했다. 그는 “애초 지난해 말 착수가 목표였으나 12‧3 계엄 사태 등으로 일정이 지연돼 약 1년 가까이 미뤄졌다”며 “국토부가 의지를 갖고 적극 협력해 결국 사업성 조사가 시작하게 된 점은 높이 평가한 뒤 “민자적격성 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이 본격화되는 만큼, 국토부는 차질 없는 후속 절차를 준비해 달라”고 주문했다.
윤 의원은 JTX의 정책적 의미도 강조했다. “JTX는 4차 국가철도망에 반영되어 있던 ‘경강선 연장사업’과 ‘수도권내륙선’을 대체‧통합할 수 있는 대안 노선으로 제안되어 검토 중인 만큼, 이번 5차 철도망에는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평택-부발선, 경강선 연장, 수도권내륙선도 이미 4차 철도망에 반영된 노선들”이라며 “사업의 연속성 원칙에 따라 5차 철도망에도 재반영되어 안성 철도 유치가 확정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안성 철도의 국가적 타당성을 거듭 부각했다. “화성-평택-용인-안성-이천을 철도로 촘촘히 연결하면 삼성·SK하이닉스의 반도체 제조거점과 안성의 반도체 소부장(장비) 특화기반이 단일 공급망으로 묶인다. 수도권 남부-중부권의 직결은 K-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완성의 핵심이며, JTX는 국가핵심전략 인프라로서 충분한 당위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김윤덕 국토부장관을 향해 “4차 철도망에 반영된 사업들은 원칙적으로 5차 철도망에 연속 반영되는지 확인해 달라”면서 “평택-부발선, 경강선 연장, 수도권내륙선의 재반영은 안성 철도 유치의 핵심 전제”라고 물었고, 김 장관은 “이에 중대한 하자가 없으면 4차 철도망에 반영된 노선은 당연히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고 답변했다.
끝으로 윤 의원은 “안성 철도는 이미 축적된 정책 논의와 지역 및 국가적 필요에 근거한 연속 사업”이라며 “국토부의 책임 있는 결정으로 안성시민의 오랜 염원이 실현되길 기대한다. 이번 5차 철도망 반영을 계기로 그동안 발전에서 소외되어 왔던 중부내륙과 경기 남동부 지역 전체에 새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