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조상 땅 찾기’

서비스 이용자 증가

 ‘조상 땅 찾기’ 이용자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조상 땅 찾기 서비스 이용자가 2만 771명(16만 6천여 필지, 261㎢)으로 2011년(1만 9천 268명 111만 9천여 필지, 177만㎢)에 비해 33.7% 늘었다. 이는 2001년 제도 시행 이래 최대 규모다.

 이 서비스는 국가에서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 소유 전산망을 통해 토지소유자가 사망한 경우, 시·도 및 시·군·구에 민원을 신청하면 상속인에게 사망자명의의 토지를 알려줌으로써 상속 등 재산관리를 도와주는 제도이다.

 경기도와 인천시의 자료 제공 누계 실적은 경기도가 2만여명(15만8천여필지, ㎢228), 인천시가 5천 500여명(3만 3천여 필지 64㎢)에 달한다. 국토부는 “지난해 6월에 시스템을 개편, 토지소재 지자체에서만 제공되던 서비스를 전국 시·도나 시·군·구 민원실에서 이름만으로 신속하게 조상땅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주민등록번호 없는 조상도 이름만으로 조상 명의의 땅을 조회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늘렸기 때문이다” 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의 조상 땅 찾아주기 서비스로 알지 못했던 조상땅을 찾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조상 땅 찾기 열풍이 불고 있고, 또한 이 서비스 제도를 이용해 실제 많은 사람들이 조상 땅을 찾는 수혜 사례가 증가되면서 계속적으로 조상 땅 찾기 서비스가 큰 인기를 받고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