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 땅 찾기’ 이용자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조상 땅 찾기 서비스 이용자가 2만 771명(16만 6천여 필지, 261㎢)으로 2011년(1만 9천 268명 111만 9천여 필지, 177만㎢)에 비해 33.7% 늘었다. 이는 2001년 제도 시행 이래 최대 규모다.
이 서비스는 국가에서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 소유 전산망을 통해 토지소유자가 사망한 경우, 시·도 및 시·군·구에 민원을 신청하면 상속인에게 사망자명의의 토지를 알려줌으로써 상속 등 재산관리를 도와주는 제도이다.
경기도와 인천시의 자료 제공 누계 실적은 경기도가 2만여명(15만8천여필지, ㎢228), 인천시가 5천 500여명(3만 3천여 필지 64㎢)에 달한다. 국토부는 “지난해 6월에 시스템을 개편, 토지소재 지자체에서만 제공되던 서비스를 전국 시·도나 시·군·구 민원실에서 이름만으로 신속하게 조상땅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주민등록번호 없는 조상도 이름만으로 조상 명의의 땅을 조회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늘렸기 때문이다” 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의 조상 땅 찾아주기 서비스로 알지 못했던 조상땅을 찾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조상 땅 찾기 열풍이 불고 있고, 또한 이 서비스 제도를 이용해 실제 많은 사람들이 조상 땅을 찾는 수혜 사례가 증가되면서 계속적으로 조상 땅 찾기 서비스가 큰 인기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