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우리나라(몽골) 축산업의 잠재력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를 얻어가요” 몽골에서 온 간툭스씨(29세 국립가축유전자센터)가 본국으로 돌아가 한국에서 배운 선진농업 기술을 적용해 볼 기대감에 벅차있다. 그는 현재 한경대학교대학원에서 KOICA 석사과정(4기)을 밟고있다.
국립한경대 국제개발협력대학원은 지난 8월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공동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 20개국에서 온 20여 명의 외국인 연수생을 대상으로 국제농업농촌개발 석사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이 4기째인 KOICA 석사과정은 국제농업 및 농촌 개발에 대한 특화교육을 시행함으로써 개도국의 농업발전을 돕고, 친 한국적 전문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연수생 대부분은 각국의 농업농촌관련 중앙 및 지방정부 간부 공무원 또는연구소 연구인이다.
연수생들은 농촌계획 및 개발론, 국제개발협력론, 통계연구 방법론, 농업경영론 등을 공통으로 배우고 각자의 전공과 관심분야에 따라 농업자원관계론, 축산식품가 공학토론, 농업정책론, 국제 갈등관계와 협상 등을 선택적으로 공부하고 또 현장실습, 산업시찰 한국문화체험, 멘토 맨티프로그램 등 다양 한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특히 농장이나 목장을 방문해 한국의 농업 축산기술을 관찰하고, 체험하는 현장 실습은 연수생들에게 가장 인기 좋은 시간이다. 이렇게 한경대 KOICA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높다.
이번 기수 반장을 맡은 방글라데시의 란잔 씨(40·국립농촌개발원)는 “한경대는 우리에게 훌륭한 학습 환경을 제공했으며, 다양한 이슈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이끌어 냈다” 며 흡족해 했다. 최근 목표를 묻는 질문에는 “한국 농업과 농촌 개발 분야의 성공전략을 정확하게 이해한 후 방글라데시의 상황에 맞게 적용함으로써 방글라데시 농업발전을 이뤄낼 것” 이라고 대답했다.
한경대 국제개발협력대학원은 지난 2010년부터 현재까지 4기에 걸쳐 총 79명의 외국인 연수생을 교육했으며, 졸업생 중에는 자국 농업발전에 기여해 요직으로 승진한 경우도 다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