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 내년부터 분산제 시행

겨울방학 2월까지 46일·5월에도10일간 방학

 경기도 내 학교에 내년부터 방학 분산제가 도입되면서 겨울방학이 현행 32일에서 최대 46일까지 늘어나고, 5월에도 최대 10일간의 단기방학도 가능해졌다. 경기도 교육청의 일선 학교에 지난 8일 배포한 교육과정 정상화 및 다양화를 위한 방학 분산제 운영 계획을 보면 ‘경기도내 초·중·고교는 내년부터 현재의 방학운영 방식말고도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 △겨울방학전 학사 운영 종료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2월 등교 기간 최소화형은 2학기 수업 종료 시기를 현행 12월 말에서 1월 7~8일로 연장하고 종업식과 졸업식을 위해 2월 중등교 기간을 3~4일로 최소화 하도록 했다. 특히 이 경우 현재 38일인 여름방학을 33일로 줄이는 대신 현재의 재량휴일을 5일 안팎이던 것을 5월 중 휴일과 연계한 재량휴업일을 최대 10일까지 이용것이 가능하다.

 겨울방학전 학사 운영 종료형은 2학기 수업 종료 시 기를 1월 15일로 연장하고, 2월 한달을 방학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택할 경우 1월 14일에 종업식과 졸업식이 이뤄지고 5월과 10월에 각각 7일과 5일 안팎의 재량휴업이 가능해진다.

 현행 방학제는 여름방학 38일, 겨울방학 32일이며, 봄과 가을에 각각 4~5일 안팎의 재량휴업일을활용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관계자는 “학습과 휴식의 적절한 균형을 취하고, 2월 학교 교육의 비효율성 등을 고려한 개선안으로, 각급 학교는 학교 구성원들의 뜻을 모아 현행 방식을 포함 3가지 유형 가운데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지난해 “방학분산제 실시 적합성 연구” 에서는 교사의 79.9%, 학부모의 64.1%가 2월 학교 교육에 학기말 집중력 저하, 겨울방학 개학 후 봄 방학이 시작되는 구조의 비효율성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경기도 교육청이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 9만 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일 실시한 ‘방학분산제 실시에 동의 한다는 대답이 50.8%, 동의하지 않는다는 대답이49.2%로 팽팽했다. 도교육청은 이에 대해 “교육지원청별로 초등·중등 1개교씩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신청 학교가 많을 경우 제한없이 모두 시범학교로 선정키로 했다.


지역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 봉하마을 참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위원장 윤종군 국회의원)가 지난 21일,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해 묘역을 참배했다. 이번 행사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김보라 안성시장, 백승기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원과 시민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이번 참배에는 지역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산을 미래세대가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참배단은 10대의 버스를 나눠 타고 오전 7시 안성을 출발해, 오후 1시 봉하마을에서 공식 참배 일정을 진행했다. 헌화와 분향 등으로 진행된 참배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윤종군 국회의원은 방명록에 “네 번째 민주정부, 네 번째 민주당 대통령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을 자랑스럽게 보고드립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지난 14주기부터 매년 수백 명의 당원과 시민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올해는 대선 승리 후 찾아뵐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자리였다. 안성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바라는 시민들과 당원들의 열망을 다시금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참배를 마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