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학교에 내년부터 방학 분산제가 도입되면서 겨울방학이 현행 32일에서 최대 46일까지 늘어나고, 5월에도 최대 10일간의 단기방학도 가능해졌다. 경기도 교육청의 일선 학교에 지난 8일 배포한 교육과정 정상화 및 다양화를 위한 방학 분산제 운영 계획을 보면 ‘경기도내 초·중·고교는 내년부터 현재의 방학운영 방식말고도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 △겨울방학전 학사 운영 종료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2월 등교 기간 최소화형은 2학기 수업 종료 시기를 현행 12월 말에서 1월 7~8일로 연장하고 종업식과 졸업식을 위해 2월 중등교 기간을 3~4일로 최소화 하도록 했다. 특히 이 경우 현재 38일인 여름방학을 33일로 줄이는 대신 현재의 재량휴일을 5일 안팎이던 것을 5월 중 휴일과 연계한 재량휴업일을 최대 10일까지 이용것이 가능하다.
겨울방학전 학사 운영 종료형은 2학기 수업 종료 시 기를 1월 15일로 연장하고, 2월 한달을 방학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택할 경우 1월 14일에 종업식과 졸업식이 이뤄지고 5월과 10월에 각각 7일과 5일 안팎의 재량휴업이 가능해진다.
현행 방학제는 여름방학 38일, 겨울방학 32일이며, 봄과 가을에 각각 4~5일 안팎의 재량휴업일을활용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관계자는 “학습과 휴식의 적절한 균형을 취하고, 2월 학교 교육의 비효율성 등을 고려한 개선안으로, 각급 학교는 학교 구성원들의 뜻을 모아 현행 방식을 포함 3가지 유형 가운데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지난해 “방학분산제 실시 적합성 연구” 에서는 교사의 79.9%, 학부모의 64.1%가 2월 학교 교육에 학기말 집중력 저하, 겨울방학 개학 후 봄 방학이 시작되는 구조의 비효율성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경기도 교육청이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 9만 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일 실시한 ‘방학분산제 실시에 동의 한다는 대답이 50.8%, 동의하지 않는다는 대답이49.2%로 팽팽했다. 도교육청은 이에 대해 “교육지원청별로 초등·중등 1개교씩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신청 학교가 많을 경우 제한없이 모두 시범학교로 선정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