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보건소, 소아 A형간염 무료 예방접종

오는 5월 1일부터…201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대상

 안성시보건소는 소아 A형간염 예방접종이 국가필수 예방접종에 포함됨에 따라 오는 51일부터 소아를 대상으로 A형간염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대상은 201211일 이후 출생아로, 보건소, 보건지소 및 예방접종 민간위탁

의원에서 무료로 접종이 가능하다.

 A형간염은 감염환자와 접촉하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 또는 음식물을 통해 쉽게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평균 28(15~50)의 잠복기 후에 간염 증상이 나타난다.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고열, 권태감, 식욕부진, 진한 소변, 황달 등이 나타나며, ·유아 시기에 2번의 A형간염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A형간염 접종 권장 시기는 생후 12~23개월에 1차 접종, 6~18개월 이상 경과 후(백신 종류에 따라 일부 차이 있음) 2차 접종을 하며, 접종 후 항체 생성률은 거의 100%에 달하므로 예방접종 후 항체 검사는 필요하지 않다.

 접종 금기대상은 백신 성분 또는 이전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경우이며, 중등도 이상 급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회복 될 때까지 접종을 연기해야 한다.

 안성시 필수예방접종 위탁 병의원 20개소에서도 소아 A형간염 예방접종이 무료로 가능하며 위탁의료기관 현황은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http://nip.cdc.go.kr)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기타 문의사항은 안성시보건소 예방접종실(678 - 5914 ~ 5)에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소아 A형간염 접종 대상 및 권장 시기

 

권장 시기

접종기관

1

생후 12~23개월

보건소

보건지소

관내 20개소 위탁의료기관

2

1차 접종 후 6~18개월 후

(백신 종류에 따라 일부 차이 있음)

권장 시기가 지난 경우

201211일 이후 출생자는 접종 가능

영유아 A형간염 예방접종 가능 위탁의료기관 현황(20개소)

위탁의료기관

전화번호

주 소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8046-5000

안성시 고수217 (당왕동)

권소아청소년과

677-0134

안성시 안성맞춤대로 1043 (서인동)

베스트의원

673-5009

안성시 남파로 73-3 (신소현동)

사랑소아청소년과

655-0852

안성시 공도읍 공도로 132

삼성키즈소아청소년과

692-7500

안성시 공도읍 진사길 11 광동아이비 2

성모가정의원

654-7511

안성시 공도읍 진사길 11 광동아이비 B

연세소아청소년과

654-7600

안성시 공도읍 공도로 91 성지프라자

우리들소아청소년과

654-6700

안성시 공도읍 서동대로 4079 주은풍림@상가 217

우리생협의원

671-9157

안성시 대학로 70(금산동) 주은청설@상가 B-107

유희범소아청소년과

675-5500

안성시 중앙로 370 (석정동) 305

푸른의원

656-7582

안성시 공도읍 진사길 40 주은청설@상가 A-121

풍림연세의원

653-3537

안성시 공도읍 서동대로 4079 주은풍림@상가 203

황인선소아청소년과

671-1771

안성시 인지19-8 (인지동)

성심가정의원

671-3775

안성시 금광면 종합운동장로 132 홍익@상가

자애의원

674-1198

안성시 일죽면 금일로 465-10

윤소아과

671-0130

안성시 중앙로 358 (석정동)

마트소아청소년과

657-8279

안성시 공도읍 서동대로 4478 롯데마트 내

생협서안성의원

070-4311-1641

안성시 공도읍 승두길 40

코아이비인후과

692-8276

안성시 공도읍 서동대로 3874

별소아청소년과

672-9607

안성시 중앙로 252 (석정동)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