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안성포도,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이 살길이다

한이석 의원

안성포도,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이 살길이다

 

한이석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새누리, 안성2

 

 예로부터 포도하면 안성이다. 안성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포도가 들어온 곳으로 114년 한국포도의 역사가 곧 안성포도의 역사인 것이다. 안성포도는 유서깊은 포도 재배역사를 바탕으로 160억원의 농가소득을 창출하는 안성의 대표 효자작목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안심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으로 칠레산 등 수입 포도가 밀려들면서 지난해 포도 수입량과 수입액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015년도 1월 농업관측센터 소비자패널 조사자료에 따르면 국내산 포도와 수입포도의 품질이 차이가 없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22%에 달한다. 저렴한 수입포도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품질만이 살길인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안성지역 각 읍면별 생산기술의 차이로 상품성이 고르지 못하고, 재배농가의 노령화로 새로운 재배기술 습득에 어려움이 있다. 생육기인 7~8월에 장마철과 겹쳐 생육이 불안정하고, 9월에 집중 출하되어 유통기간이 짧아 신선도 유지도 어렵다. 또한, 안성포도의 주종인 거봉 등 유럽계 칼라포도품종 특성상 월동이 어려워 겨울에 묻어주고 봄에 캐내어 가지정리를 해야하는 등 많은 손길을 필요로 한다.
 안성지역 포도 재배면적은 계속 감소 추세에 있으며, 국제농산물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어려움도 상존하고 있다. 기상이변에 따른 작황 및 월동대책도 미흡하여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FTA 시대 포도농업은 도전과 도약의 기로에 서있다. 위기를 기회로 삼는 농민들에게서 희망의 빛이 보인다. 현재, 안성의 많은 농가는 새로운 소득화 사업인 씨없는 삼색포도 생산으로 농가소득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또한, 안성 포도연구회와 각 작목반을 중심으로 품질고급화 등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포도생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씨없는 삼색포도 재배기술은 10년 이상의 포도 재배기술과 노하우를 습득한 숙련된 전문농업인만이 할 수 있다고 한다. 농가들은 삼색포도 재배기술 습득에 어려움이 많으나 타 지역과 차별화된 포도를 통해 고소득을 높일 수 있어 희망농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삼색포도의 성공비결은 뭔가 색다른 것을 찾으려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맞춤형 농산물이라는데 있다. 젊은 도시 소비자의 소비패턴이 점차 먹기 편한 씨 없는 포도로 바뀜에 따라 보기 좋고(Good look), 맛 좋고(Good taste), 몸에 좋고(Good for health), 먹기 좋은(Good to eat) 포도를 생산하여 최고품질의 ‘4G 경기과일’을 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고품질 다품종의 생산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수입 포도와의 생존경쟁에서 이겨나가기 위해서는 이렇듯 적극적인 아이디어 발굴과 농업환경에 투자하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기도나 안성시의 적극적인 농가지원이 필요하다. 경기 농업이 수도권이라는 지리적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관광지와 연계한 포도 직판농장, 포도 체험농장 등 6차산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농가소득원을 창출하고, 명성을 이어 나가기를 바란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