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과학자와 함께 미래 과학자 키운다

체험중심의 과학교실, 현장견학, 과학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

경기도, 청소년 8천여 명 대상과학자와 함께하는 과학멘토사업 시작

 경기도가 ‘2015 과학자와 함께하는 과학멘토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청소년의 창의력을 배양하고 과학인재로 양성하기 위해 경기도가 지난 2004년부터 추진해온 사업으로, 올해에는 도내 초·고생 8천여 명을 대상으로 7월부터 진행된다.

 사업은 공모를 거쳐 선정된 대학교, 연구기관 등 8개 기관이 참여해 IT, 바이오, 항공, 로봇, 나노기술 등 각각 특색 있는 과학 분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프로그램은 각 기관의 현장 과학자들이 학생들과 멘토-멘티를 맺고 실험과 체험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수원대학교는 멘토가 직접 학교에 방문해 과학 원리와 현상을 실험, 체험, 관찰을 통해 알기 쉽게 지도하는 방문과학교실과 이동과학교실을 운영한다. 또 우리나라 문화재 속 과학원리를 찾아보는 역사과학탐방도 마련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생명과학을 주제로 실습, 현장체험을 하는 정규반과 방학 중 과학관을 견학하고 생명과학 조립모형 만들기 등을 체험하는 특별 초청반 등을 운영한다.

 가천대학교는 초등학교 4~6학년을 대상으로 융합교육인 STEAM(과학Science, 기술 Technology, 공학 Engineering, 수학 Mathematics, 예술 Art) 교육과 정보통신기술, 소프트웨어 등을 배우는 정기과학교실과 실험 중심의 과학수업인 방문과학교실도 병행한다.

 차의과학대학교는 경기 북부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바이오(BT)와 정보기술(IT)을 융합한 BIT 융합형 과학교실을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나노기술원은 나노융합과학이 응용된 최신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토요과학교실, 나노템플스테이, 학교방문형 프로그램 등의 과학교실을 운영한다.

 부천산업진흥재단은 로봇으로 특화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8주 과정으로 로봇 기초 원리를 배우는 로봇베이직반, 로봇 전자회로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심화반을 마련했다. 방학 중에는 로봇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체험 위주의 1일 과정도 운영한다.

 한국항공대학교는 다양한 모형비행기를 만드는 팀 글라이더 대회와 비행시뮬레이션 교육, 찾아가는 항공과학 교실 등 항공을 주제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안산시청소년수련관은 로봇으로 배우는 STEAM 교육, 과학멘토링 활동, 대한민국과학 창의축전 탐방, 12일 과학공학캠프 등을 운영한다.

 각 운영기관별 모집 시기, 인원, 참여방법 등은 프로그램마다 상이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과학기술과(031-8008-4019)나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학연지원본부 성과확산팀(031-888-9540)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한정길 도 과학기술과장은 지난 10년간 과학멘토 사업을 통해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도내 청소년들의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했다.”앞으로도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과학인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