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 운행효율 높였더니, 입석승객 절반으로 뚝

앞으로 경기 전역으로 주요거점 간 운행 노선 발굴, 확대 운영 계획

8110번 투입 이후 교통카드 분석 결과 입석승객 절반으로 감소

8110번 버스 이용객 1,440명에서 2,593명까지 늘어

버스공급 증가로 성남~서울 노선 입석승객은 47% 감소(661349)

버스 운행효율 증가로 출근시 버스운행 24회 증가(93117)

 경기도는 지난 511일 정자역~서울 백병원을 오고가는 노선인 광역버스 8110번이 신설된 이후 성남에서 서울역 방면으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의 입석승객이 절반으로 감소했다고 16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8110번의 교통카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운행을 개시한 511일에는 1,440명이 이용했으며 이후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해 6월에는 일평균 80.1%가 증가한 2,593명이 이용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8110번의 운행 이후 성남~서울역 구간을 다니는 광역버스 4개 노선(8100, 9000, 9001, 5500-1)의 입석승객이 4월 기준 661명에서 6월 기준 349명으로 감소하는 등 최대 47%까지 줄어 좌석제 운행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를 거둔 이유로는 현재 운행 중인 8110번 버스가 서울 도심 혼잡 구간 운행 길이 4.5km 단축, 전철 환승이 용이한 주요 정류소 11개소 한정 정차 등을 통해 배차 간격을 5분 이내로 단축시켜 장시간 대기나 입석탑승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편을 감소시키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남~서울역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4개 노선의 출근시간대(6~9) 총 운행횟수가 기존 93회였던 반면, 8110번 투입 이후 현재는 117회까지 늘어나 버스 1대당 운행 횟수가 기존 1.1회에서 현재 1.7회까지 증가하는 등 운행효율도 높아지게 됐다.

 홍귀선 경기도 버스정책과장은 “8110번 노선이 입석승객 감소는 물론, 도민들의 편리하고 신속한 출퇴근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번 운행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경기도가 추진 중인 굿모닝버스 정책의 환승거점 운행 효율 산정, 버스노선체계 개편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8110번 버스 분석에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도입해 이용객 승하차 패턴과 구간별 통행특성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가능케 했다. 도는 앞으로도 교통카드 자료 분석을 통해 운행효율이 높은 신설 광역버스 노선을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