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 운행효율 높였더니, 입석승객 절반으로 뚝

앞으로 경기 전역으로 주요거점 간 운행 노선 발굴, 확대 운영 계획

8110번 투입 이후 교통카드 분석 결과 입석승객 절반으로 감소

8110번 버스 이용객 1,440명에서 2,593명까지 늘어

버스공급 증가로 성남~서울 노선 입석승객은 47% 감소(661349)

버스 운행효율 증가로 출근시 버스운행 24회 증가(93117)

 경기도는 지난 511일 정자역~서울 백병원을 오고가는 노선인 광역버스 8110번이 신설된 이후 성남에서 서울역 방면으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의 입석승객이 절반으로 감소했다고 16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8110번의 교통카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운행을 개시한 511일에는 1,440명이 이용했으며 이후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해 6월에는 일평균 80.1%가 증가한 2,593명이 이용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8110번의 운행 이후 성남~서울역 구간을 다니는 광역버스 4개 노선(8100, 9000, 9001, 5500-1)의 입석승객이 4월 기준 661명에서 6월 기준 349명으로 감소하는 등 최대 47%까지 줄어 좌석제 운행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를 거둔 이유로는 현재 운행 중인 8110번 버스가 서울 도심 혼잡 구간 운행 길이 4.5km 단축, 전철 환승이 용이한 주요 정류소 11개소 한정 정차 등을 통해 배차 간격을 5분 이내로 단축시켜 장시간 대기나 입석탑승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편을 감소시키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남~서울역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4개 노선의 출근시간대(6~9) 총 운행횟수가 기존 93회였던 반면, 8110번 투입 이후 현재는 117회까지 늘어나 버스 1대당 운행 횟수가 기존 1.1회에서 현재 1.7회까지 증가하는 등 운행효율도 높아지게 됐다.

 홍귀선 경기도 버스정책과장은 “8110번 노선이 입석승객 감소는 물론, 도민들의 편리하고 신속한 출퇴근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번 운행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경기도가 추진 중인 굿모닝버스 정책의 환승거점 운행 효율 산정, 버스노선체계 개편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8110번 버스 분석에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도입해 이용객 승하차 패턴과 구간별 통행특성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가능케 했다. 도는 앞으로도 교통카드 자료 분석을 통해 운행효율이 높은 신설 광역버스 노선을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